증명적 귀납과 엄격한 시험
Demonstrative Induction and Severe Tests
귀납에 관한 직관으로 볼 때,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의 수는 많으면 많을수록 좋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과학의 실제를 보면, 적은 수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그로써 해당 가설이 충분히 지지받는 것으로 여겨지는 경우들이 적지 않다. 이러한 귀납을 철학자들은 종종 ‘증명적 귀납’이라 불렀다. 역사적으로 이러한 인식은 오래된 것이나, 그에 대한 분명한 문제 제시는 19세기 밀에게서 볼 수 있다. 다만 그에 대한 해결을 그 자신은 미뤄 두었고, 이후 돌링이나 노턴 등에 의해 그 해결의 실마리가 조금씩 풀리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증명적 귀납의 문제에 관해 돌링이나 노턴이 그 모든 것을 충분히 밝혔다고 보지는 않는다.
적어도 그들은 증명적 귀납에서 문제의 증거 그 자체를 과연 어떻게 얻어야 하는가에 관해 제대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곧 그 증거를 얻기 위해 이루어지는 실험이 과연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관해 올바로 주목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바로 이 대목에서 나는 메이요의 ‘엄격한 시험’ 방식이 그 해명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본다. 적어도 증명적 귀납과 관련해, 그것이 완성되기 위해서는 관련 실험이 주요하게 메이요식의 엄격한 시험 방식일 필요가 있음을 논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다. 만일 이것이 성공적이라면, 더불어 그것이 어떻게 그와 관련된 상위 설명 이론과 독립적으로 안정적일 수 있는가도 보일 수 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intuition about induction, it seems that the more evidence there is to support a hypothesis, the better. However, in actual scientific practice,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hypothesis is considered sufficiently supported even with a small amount of evidence. Philosophers have often referred to this kind of induction as ‘demonstrative induction’. Historically, this understanding is not new, but a clear presentation of the issue can be found in the work of Mill in the 19th century. However, Mill himself postponed resolving this issue, and it was only later that authors like Dorling and Norton began to gradually provide insights into its solution. Nevertheless, even with Dorling’s and Norton’s contributions, I do not believe that they have fully addressed all aspects of the problem of demonstrative induction.
At the very least, they have not paid sufficient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how the evidence itself should be obtained in demonstrative induction. In other words, they have not adequately focused on how the experiments conducted to obtain such evidence should be designed and carried out. It is at this point that I believe Mayo’s notion of ‘severe testing’ could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clarification. Specifically, in the context of demonstrative induc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for it to be complete, the relevant experiments must be primarily conducted in the manner of Mayo’s severe tests. If this approach proves to be successful, it may also demonstrate how these experiments can maintain their stability independently of any overarching explanatory theories related to them.
한국논리학회, 독립연구자 전영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