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에 대한 철학적 성찰
Philosophical Meditation on Rational Humans and Ecological Humans

송광일
조선대학교 글로벌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화학부

남미순
항동중학교 ;전남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169, pp. 197-219 (23 pages)
10.20293/jokps.2024.169.197
대한철학회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인간중심주의나 탈인간중심주의 세계관을 벗어나기 위해 공존성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근대 이성주의 철학에 대한 회귀적 성찰을 한 후, 근대의 인간중심주의나 이성적 인간을 비판하는 탈인간중심주의로서의 환경윤리학과 생태주의를 탐색한다. 끝으로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주의를 지양하며 다양한 생태적 인간을 추구하는 생태철학의 모델로 환경실용주의 혹은 생태민주주의를 제안하고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we should shift to a coexistence paradigm in order to escape from the worldview of either anthropocentrism or post-anthropocentrism. To this end, this researcher speculates on the philosophy of rationalism retrospectively and explores environmental ethics and ecology as post-anthropocentrism that criticizes modern anthropocentrism or rational humans. Lastly, this study proposes environmental pragmatism or ecological democracy as a model of ecological philosophy that sublates anthropocentrism and ecology and pursues various ecological humans and explores its potential.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