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레비나스와 앙리 베르그손의 관계 연구(1): 레비나스의 베르그손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manuel Levinas and Henri Bergson(1): Levinas’s Bergson

 

본 연구는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앙리 베르그손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피려는 최초의 시도 중 첫 번째 작업으로, 생성의 철학자 베르그손이 타자의 철학자 레비나스의 사유에 미친 영향력을, 다르게 말하자면 레비나스와 베르그손 철학에서 드러나는 사유의 유사성을 그 내용과 구도 면에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레비나스는 베르그손의 철학에서 자신과 동일한 문제의식을 발견한다. 동일성을 넘어 차이로 나아가려는 열망 말이다. 그들은 우리의 이해와 인식이 갖는 한계를, 기성의 사유함과 철학이 간과했던 그 너머를, 그러니까 반복을 넘어선 새로움을 이야기한다. 레비나스에서 베르그손이 특권적 위치를 차지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넘어서고자 하는 종래의 철학적 전통과 관련되어 있다. 그들은 공히 동일자의 철학, 현전의 철학을 문제 삼는다. 서양의 철학적 전통에서 공간에 부여된 특권을 문제 삼은 베르그손의 비판 정신은 서양의 사유가 전체성에 부여한 우위를 비판하는 레비나스와 연결된다. 베르그손은 공간과 같은 범주로 사유되는 전체성에, 또 레비나스는 존재나 의식과 같은 범주로 사유되는 전체성에 반대한다. 그들은 동질적이고 닫힌 전체성으로서의 실재 개념을 거부한다. 공간과 전체성은 의미가 생산되는 사건을 감추는 도식이며, 지속과 얼굴을 은폐한다는 점에서 새로움의 출현을 가로막는 철학사의 유구한 장애물이다. 존재론이 지배하는 전통에서 벗어나려는 레비나스의 철학적 방향성은 과학과 지식의 지배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려는 베르그손의 노력과 만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레비나스의 ‘나와 타자가 맺는 대면의 관계’와 베르그손의 ‘지속과 지속에 대한 의식이 맺는 관계’ 사이에는 분명한 유사성이 있다. 근접성과 넘쳐흐름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This study is the first work of the projec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manuel Levinas and Henri Bergson. Our purpose i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Bergson on Levinas in terms of the content and the composition of thought. Levinas finds that Bergson has the same critical mind as himself. It refers to the desire to move beyond identity to difference. They talk about the limitations of our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the novelty that goes beyond repetition. In other words, the philosophical similarity between Levinas and Bergson is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tradition that they want to overcome. They both question the philosophy of same and the philosophy of presence. Bergson’s critical spirit, which questioned the privilege granted to space in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is linked to Levinas, who criticizes the superiority that Western thinking gave to totality. Bergson opposes the totality thought in the category as space, and Levinas opposes the totality thought in the category as existence or consciousness. They both reject the concept of reality as a closed and homogeneous totality. Space and totality are diagrams that hide the events in which meaning is produced and are long obstacles to the emergence of novelty. Levinas’s philosophical direction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 dominated by ontology can be met with Bergson’s efforts to free us from the dominance of science and knowledge. Finally, there is a clear similarity between Levinas’s ‘the face-to-fac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the other’ and Bergson’s ‘the relationship between duration and consciousness of duration’. This is true in that it combines proximity and overflowing.

대한철학회
부산대학교 김도형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