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에 관한 이차원주의와 B-이론으로서의 현재주의
Two-Dimensionalism of time and B-Theoretic Presentism
이 논문에서 필자는 양상성에 관한 이차원주의적 프레임워크를 시간에 관한 논의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장한다. 우선, 필자는 현재주의가 정합적으로 이해될 수 없는 이론이며 이런 특징은 커가는 블록 이론과 움직이는 스포트라이트 이론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는 것을 논증한다. 다음으로 이 이론들을 정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두 개의 시제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데, 이 두 개의 시제 개념은 시간에 관한 이차원주의를 통해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이차원주의적인 방식으로 해석된 현재주의가 실제로 작동하기 위해서 우리는 다소 과격한 존재론적 개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논증한다.
In this paper, I argue for the usefulness of introducing a two-dimensionalist framework of modality into discussions about time. First, I argue that presentism is a theory that cannot be coherently understood, and that this feature is similarly observed in the growing block theory and the moving spotlight theory. Next, I argue that, in order to coherently understand these theories, we need to introduce two concepts of tense, which can be explained through two-dimensionalism about time. Finally, I argue that, in order for presentism interpreted in a two-dimensionalist way to actually work, we need a somewhat radical ontological revisio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중앙대학교 이재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