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펜서의 과학 예찬에 대한 피터즈의 논평 고찰
Peters’s Comments on Spencer’s Conviction of the Omnipresence of Science
현상익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철학연구
2024, vol.46, no.2, 통권 104호 pp. 341-362 (22 pages)
한국교육철학학회
초록
이 논문은 스펜서의 교육론에 대한 피터즈의 논평을 자세히 검토하는 데에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논의를 다룬다. 하나는, 스펜서의 교육론이 18, 19세기 영국 교육의 역사 안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논의이다. 이 논의는 한편으로 스펜서의 교육론이 당대 교육 현실에 어떤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는가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주며, 또 한편으로 피터즈가 스펜서의 교육론에 대해 가장 문제로 삼았던 부분이 정확히 어느 곳인가를 분명히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다른 하나는, 스펜서 교육론에 대한 피터즈의 윤리학적 논평의 내용을 자세히 검토하는 논의이다. 이 논평에서 피터즈는 스펜서가 제안하고 있는 교육에 관한 모든 구체적 사항의 밑바탕에 과학만능주의, 진화론적 신념, 원자적 개인주의의 세 가지 사고가 논리적으로 가정되어 있음을 지적한다. 피터즈는 특히 스펜서의 교육론이 철두철미 원자적 개인주의의 사고에 근거하여 삶의 의미와 교육의 가치를 파악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피터즈의 관점에서 보면, 스펜서의 교육론에 나타나 있는 이런 식의 사고는 교육과 관련하여 늘 도덕적 위험성을 수반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경계의 대상이 된다. 피터즈가 전달하고 있는 이 문제의식은 한편으로 교육의 개념을 파악하는 현대의 지배적 관점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기회를 제공하며, 또 한편으로 피터즈의 교육론을 대표하는 여러 주장들의 의미를 자세히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key points of Peters’s critique of Spencer’s proposals for education. Spencer is well-known for his strong conviction ofthe omnipresence of science, which permeates his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 Peters argued that conceptions such as scientism, evolutionary faith, and atomic individualism were presupposed in all the details of Spencer’s proposals on education. According to Peters, Spencer had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approach that redefined the concept of life and the true meaning of education based on an evolutionary faith and atomic individualism. Peters pointed out that this approach, as manifested in Spencer’s proposals on education, would be morally dangerous. All detail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us with important clues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uch concepts as the normative aspect of education, concept of education as initiation, and transcendence of the forms of life that represent Peters’s educational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