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부당한 연대를 위한 정치교육 방법론 —그람시의 유기적 지식인과 프레이리의 페다고지를 중심으로—
Pedagogical Methodologies for Political Education aimed at Impartial Solidarity: Focusing on Gramsi’s the organic intellectuals and Freire’s Pedagogy
우리는 전 지구적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연대해야 하며, 불편부당하게 연대하기 위해 정치교육이 필요하다. 불편부당한 연대는 서로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것의 가능성은 공론장에서 자유롭게 대화하고 소통하는 정치적 행위 주체의 정치적 역량 함양에서 나온다. 유기적 지식인은 정치적 역량을 함양하는 정치교육을 담당한다. 이들의 교육 방법은 비판적 사고를 통한 자유로운 대화다. 그람시의 ‘유기적 지식인’과 프레이리의 ‘페다고지’를 살펴봄으로써, 정의 사회를 위해 상호 신뢰를 구축하는 방안으로 정치교육의 필요성을 살펴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르치는 자와 배우는 자 모두가 문제의 본질을 알고 이해하며 해석하는 방안을 찾아가며 불편부당하게 연대할 실천적 방안을 익히는 실천적 방법으로서 대화는 필요하다.
We must unite in solidarity to overcome the global crisis, and political education is necessary to build impartial solidarity. Such solidarity should be grounded in mutual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Its possibility arises from cultivating the political capacity of agents of political action who engage in fre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public sphere. Organic intellectuals are responsible for political education that cultivates political capacity. Their educational method is based on free conversation through critical thinking. By examining Gramsci’s the organic intellectual and Freire’s pedagog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political education as a means of building mutual trust for a just society, and to identify effective methodologies for doing so. Conversation is essential as a practical method through which both the teacher and the learner seek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essence of a problem, and in doing so learn how to engage in impartial solidarity.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윤은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