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문화코드 파랑(블루)의 재서사: 디아스포라 화가 신후 간톨가의 시선
Re-narration of Mongolian Cultural Code Blue: The Perspective of Diaspora Painter Shinekhuu Gantulga
세계화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은 과거 유산을 보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시공간의 맥락에서 끊임없이 재해석되어 표현되는 동적 과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활동하는 몽골 출신 화가 신후 간톨가(Shinekhuu Gantulga)의 작품을 중심으로, 몽골 문화코드가 시간적 공간적 맥락에 따라 어떻게 재서사되는지 탐구한다. 간톨가의 회화는 몽골 유목 전통과 도시적 삶의 감각을 시각적으로 융합하며, 파랑색은 하늘과 자유의 상징으로 표상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색채 표현을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과 들뢰즈-가타리의 탈·재영토화 개념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파랑채도의 변화가 디아스포라 경험 속에서 정체성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성하는지를 밝힌다. 간톨가의 파란색은 몽골의 하늘과 도시에서의 새로운 시선을 연결하는 감각적 다리로서, 문화적 동일성을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맥락에서 재정의 된다. 본 연구는 간톨가의 작품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이 디아스포라 경험 속에서 어떻게 재구성되고 확장되는지를 조명하였으며, 몽골 예술의 세계적 보편성과 문화 간 소통의 무한한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ultural identity is not merely about preserving past heritage but is a dynamic process of continual reinterpretation and expression across diverse spatiotemporal contexts. This study explores how Mongolian cultural codes are re-narrated through the works of Shinekhuu Gantulga, a Mongolian painter active in South Korea. Gantulga’s paintings visually synthesize the nomadic traditions of Mongolia with the sensibilities of urban life, prominently featuring the color blue as a symbol of the sky and freedom. This research analyzes his use of color through the lens of Paul Ricoeur’s narrative identity and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It reveals how variations in blue tones visually construct identity within the diasporic experience. Gantulga’s blue serves as a sensory bridge, linking the Mongolian sky with a renewed urban perspective, thereby maintaining cultural continuity while recontextualizing it in new settings. This study highlights how cultural identity is reconstructed and expanded through diasporic experiences in Gantulga’s work, affirming both the global universality of Mongolian art and its boundless potential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석사과정 에르뎅체첵 아즈자르갈(주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 유영초(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