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와 노화의 문제 – 안티 에이징과 인간 신체의 형이상학 –
Descartes and the Problem of Ageing -Anti-Ageing and the Metaphysics of the Human Body-

 

『방법서설』의 유명한 구절에서 데카르트는 인간이 자연의 “주인이자 소유주”로서 외적 자연뿐 아니라 의학의 발달을 통해 내적 자연, 즉 질병과 노화까지 극복할 수 있으리라 내다보면서, 트랜스휴먼과 생명공학적 안티 에이징을 예고했다. 이 논문은 이 낙관이 의학적으로 얼마나 획기적이었는지, 그리고 그 철학적 토대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이를 위해 첫째, 데카르트 당대까지도 지배적 위치에 있던 갈레노스의 의학적 전통에서 노화를 어떻게 다루었는지를 다룬 다음, 노화 현상에 대한 데카르트의 기계론적 설명이 갈레노스 전통과 어떤 점에서 단절하는지를 제시한다. 둘째, 노화의 제거 가능성에 대한 데카르트의 낙관이 인간 신체에 대한 두 가지 상이한 형이상학적 관점을 토대로 한다고 보고, 이 두 관점 각각이 데카르트의 낙관을 어떻게 뒷받침하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어떤 한계를 지우는지 고찰한다.

In a famous passage from Discourse on the Method, Descartes envisioned humanity as “the masters and possessor’s of nature”. He declared that humans could conquer not only external nature but also internal nature, namely, disease and even ageing, through advancements in medicine. In this way, he anticipated contemporary transhumanism and biotechnological anti-aging.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optimistic perspective from a medical standpoint, along with its philosophical foundations. The first section analyzes Descartes’ break from the Galenic medical paradigm by comparing their respective approaches to ageing. The second section investigates how Descartes’ optimism about overcoming ageing stems from two distinct metaphysical conceptions of the human body. While each perspective provides a foundation for his optimistic view, both also impose significant limitations on it.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연세대학교 김은주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