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경험주의의 과학적 실재론과 언어 선택의 문제: 한스 라이헨바흐의 ‘확률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Scientific Realism of Logical Empiricism and the Problem of Language Choice: Focusing on Hans Reichenbach’s ‘Probabilistic Realism’

 

최근의 과학철학 논의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주제 중 하나가 ‘과학적 실재론(scientific realism)’이다. 과학적 실재론은 토머스 쿤(Thomas Kuhn)의 『과학혁명의 구조』(1962) 속 역사적 연구를 그 논의 배경으로 한다. 대개 실재론자는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을 근거로 실재론적 관점을, 반실재론자는 “비관적 귀납(Pessimistic Induction)”을 근거로 반실재론적 관점을 주장한다. 이때 많은 경우 논리경험주의의 철학적 관점은 ‘반실재론적 관점’에 포함된다고 전제된다. 그런데 최근의 과학철학사 연구에 따르면 논리경험주의 내에서 반실재론이 아닌 ‘실재론적 관점’을 여럿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머스 쿤의 ‘역사적 전회’ 이전에 등장한 논리경험주의 판본의 실재론이 갖는 정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실재론적 관점을 취한 논리경험주의자로 슐리크(Schlick), 카르납(Carnap), 파이글(Feigl) 등 여럿 있지만, 이 논문에서 나는 논리경험주의 철학자 한스 라이헨바흐(Hans Reichenbach)의 실재론에 초점을 맞춰 논한다. 그것은 그가 주저 『경험과 예측』(1938)에서 명시적으로 일종의 실재론적 관점을 제시했으며, 그가 이후 발전시킨 인과 이론 역시 강한 실재론적 특성을 갖기 때문이다. 『경험과 예측』에서 라이헨바흐는 그의 실재론을 카르납의 실증주의적 관점에 대비하여 전개했다. 카르납은 『세계의 논리적 구조』(1928)에서 물리적 대상의 개념이 감각 인상 명제들의 집합으로 ‘환원(reduct)’된다고 주장했다. 반면 라이헨바흐는 물리적 대상 개념에는 감각 인상 명제들의 집합으로 환원되지 않는 여분의 의미가 있고, 이 개념은 감각 인상 명제보다 덜 확실하나 더 직관적인 일상적 관측 명제로부터 ‘투영(project)’되며, 이때 투영은 ‘확률적 추론(probabilistic inference)’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확률적 투영에 기반한 이러한 실재론적 관점에 관해 과학철학자 마티아스 노이버(Matthias Neuber)는 라이헨바흐가 이와 동시에 실재론의 문제를 일종의 ‘언어 선택의 문제’로도 취급하려 했다는 점에서 불완전하므로 결국 실패한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내가 볼 때 ‘확률적 실재론’과 ‘언어 선택의 문제로서의 실재론’은 노이버의 주장과 달리 서로 상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실재론적 언어와 실증주의적 언어는 ‘도출된 결정들(entailed decisions)’에 있어 서로 차별화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차별화는 언어 선택이 ‘의지적 선택(volitional decision)’이 아닌 ‘의지적 분기(volitional bifurcation)’이며, 이러한 ‘의지적 분기’는 세계의 객관적인 ‘인과적 효력(causal effect)’에 기반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One of the key topics in recent discussion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is “scientific realism”. Scientific realism traces its intellectual roots to the historical studies presented in Thomas Kuhn’s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1962). Typically, realists advocate for a realist perspective based on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while anti-realists argue for an anti-realist perspective using the “Pessimistic Induction.” In many cases, the philosophical stance of logical empiricism is assumed to fall under the category of anti-realism. However, recent studies in the history of the philosophy of science reveal that several realist perspectives can be identified within logical empiricis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nature of realist versions of logical empiricism that emerged before Thomas Kuhn’s “historical turn.” Notable logical empiricists who adopted realist perspectives include Moritz Schlick, Rudolf Carnap, and Herbert Feigl. In this paper, however, I focus on Hans Reichenbach’s realism. This focus is warranted because in his seminal work Experience and Prediction (1938), Reichenbach explicitly articulated a type of realism, and his subsequent development of causal theory also exhibits strong realist characteristics. In Experience and Prediction, Reichenbach contrasted his realism with Carnap’s positivist perspective. Carnap, in his The Logical Structure of the World (1928), argued that the concept of physical objects could be “reduced” to a set of propositions about sensory impressions. In contrast, Reichenbach contended that the concept of physical objects carries an additional meaning that cannot be reduced to such propositions. He argued that this concept is “projected” from observational statements, which, while less certain than sensory-impression statements, are more intuitive. This projection, according to Reichenbach, is based on “probabilistic inference.” Regarding this realist perspective based on probabilistic projection, the philosopher of science Matthias Neuber critiques Reichenbach, asserting that his attempt to simultaneously treat the problem of realism as a “problem of language choice” renders his account incomplete and ultimately unsuccessful. However, in my view, “probabilistic realism” and “realism as a problem of language choice” do not conflict, contrary to Neuber’s claim. This is because realist language and positivist language are differentiated by the “entailed decisions” they produce. Such differentiation is possible because language choice is not a matter of mere “volitional decision” but rather a “volitional bifurcation.” This “volitional bifurcation” is grounded in the objective causal effects of the world.

대한철학회
국립목포대학교 강형구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