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경비업법령상 경비지도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경비지도사와 특수경비지도사로 구분한다.
② 특수경비원은 특수경비지도사만이 지도․감독․교육을 할 수 있다.
③ 소방기관과의 연락방법에 대한 지도는 경비지도사의 직무이다.
④ 경비지도사는 경비원의 지도교육과 순회감독을 분기별 1회 실시하여야 한다.
62. 경비업법령상 일반경비지도사 시험에 합격하고 받아야 하는 기본교육 과목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경비현장실습
② 일반조사론
③ 기계경비현장실습
④ 민간조사론
63. 경비위해요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연적 위해는 자연현상에 의해 야기되는 자연재해이다.
② 특정한 위해는 특정 시설물 및 국가 등에 따라 성질이나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위해이다.
③ 경비위해요소 분석의 첫 번째 단계는 경비위해요소의 위험도를 서열화하는 것이다.
④ 경비위해요소의 유형에는 자연적 위해, 인위적 위해, 특정한 위해가 있다.
64. 경비의 중요도에 따른 경비수준에 관한 설명 중 ( )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 ( ㄱ ) – 전혀 패턴이 없는 외부와 내부의 이상행동 및 침입을 감지하고 저지, 방어, 대응공격을 위한 경비수준 ○ ( ㄴ ) – 대부분의 패턴이 없는 외부 및 내부의 행동을 발견ㆍ저지ㆍ방어ㆍ예방하도록 계획되어진 것으로, 교도소나 제약회사 또는 전자회사 등에서 이루어지는 경비수준 |
① ㄱ: 최고수준경비(Level Ⅴ), ㄴ: 상위수준경비(Level Ⅳ)
② ㄱ: 최고수준경비(Level Ⅴ), ㄴ: 하위수준경비(Level Ⅱ)
③ ㄱ: 중간수준경비(Level Ⅲ), ㄴ: 상위수준경비(Level Ⅳ)
④ ㄱ: 상위수준경비(Level Ⅳ), ㄴ: 중간수준경비(Level Ⅲ)
65. 경비계획 수립의 순서로 옳은 것은?
① 경비문제의 인지 → 경비목표 설정 → 경비위해요소의 조사ㆍ분석 → 최종안 선택→경비실시ㆍ평가
② 경비위해요소의 조사ㆍ분석 → 경비문제의 인지 → 경비목표 설정 → 경비실시ㆍ평가→최종안 선택
③ 경비목표 설정 → 경비위해요소의 조사ㆍ분석 → 경비문제의 인지 → 경비실시ㆍ평가→최종안 선택
④ 경비문제의 인지 → 경비위해요소의 조사ㆍ분석 → 경비목표 설정 → 경비실시ㆍ평가→최종안 선택
66. 외곽감지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광케이블감지시스템은 광케이블의 충격과 절단을 감지한다.
② 적외선변화감지시스템은 침입에 따른 적외선의 증가량을 감지한다.
③ 장력변화감지시스템은 철선이나 광케이블의 장력변화를 감지한다.
④ 펜스충격감지시스템은 울타리를 침입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한다.
67. 외곽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하수구, 배수관, 맨홀 뚜껑 등의 점검은 경비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② 외곽경비는 자연적 장애물과 인공적 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시설을 보호한다.
③ 콘서티나 철사는 빠른 설치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④ 비상시에만 사용하는 출입구는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68. 핀날름쇠 자물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ㄱ. 열쇠의 양쪽에 홈이 규칙적으로 파여 있는 형태이다. ㄴ. 열쇠의 양쪽에 홈이 불규칙적으로 파여 있는 형태이다. ㄷ. 열쇠의 홈이 한쪽 면에만 있다. ㄹ. 돌기형 자물쇠에 비해 안전성이 높다. ㅁ. 판날름쇠 자물쇠에 비해 안전성이 높다. |
① ㄱ, ㄷ, ㄹ
② ㄱ, ㄹ, ㅁ
③ ㄴ, ㄷ, ㅁ
④ ㄴ, ㄹ, ㅁ
69. 시설물 내부의 경비요령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무실 등의 출입문은 관계자들의 편리성과 내구성을 고려하면서 통제관리가 필요하다.
② 반입물품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외부로의 반출물품도 검색과 관리가 필요하다.
③ 건물내부의 중요구역 여부를 고려한 경비설계가 필요하다.
④ 출입문은 따로 구분하지 않고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7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범죄의 원인을 환경적 요인보다는 개인적 요인에서 찾는다.
② CPTED의 기본전략은 자연적인 접근통제와 감시, 영역성의 완화에서 출발한다.
③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여 범죄를 억제하고 주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④ 뉴만(O. Newman)의 방어공간 개념과는 무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