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경비업무 중 ‘경비를 필요로 하는 시설 및 장소에서의 도난ㆍ 화재 그 밖의 혼잡 등으로 인한 위험발생 방지 업무’에 해당하는 것은?
① 호송경비업무
② 시설경비업무
③ 특수경비업무
④ 기계경비업무
42. 민간경비의 주요임무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질서유지활동
② 범죄수사활동
③ 위험방지활동
④ 범죄예방활동
43. 민간경비의 실질적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비업법에 의하여 허가받은 법인이 경비업법상 규정된 업무를 수행하는 경비활동이다.
② 민간경비 뿐만 아니라 지역 내 자율방범대 및 개인적 차원 등에서 이루어지는 범죄예방관련 제반활동이다.
③ 민간차원에서 수행하는 개인 및 집단의 생명과 신체에 대한 위해방지, 재산보호 등과 관련된 활동이다.
④ 정보보호, 사이버보안은 실질적 개념의 민간경비에 속한다.
44.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차이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민간경비의 주체는 민간기업이고, 공경비의 주체는 정부이다.
② 민간경비는 고객지향적 서비스이고, 공경비는 시민지향적 서비스이다.
③ 민간경비의 목적은 고객의 범죄예방 및 손실보호이고, 공경비의 목적은 국민의 안녕과 질서유지이다.
④ 민간경비의 임무는 범죄예방이고, 공경비의 임무는 범죄대응에 국한된다.
45. 공동화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찰이 수행하는 경찰 본연의 기능ㆍ역할을 민간경비가 보완한다.
② 경찰은 거시적 질서유지 기능을 하고 개인의 신체와 재산보호는 개인 비용으로 부담해야 한다.
③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관계는 상호갈등ㆍ경쟁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ㆍ역할분담적 관계를 갖는다.
④ 범죄증가에 비례해 경찰력이 증가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워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민간경비가 발전한다.
46. 민영화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복지국가 확장의 부작용에 따른 재정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의 역할 범위를 축소 하고 재정립한다.
② 그냥 내버려두면 보호받지 못한 채로 방치될 만한 재산을 민간경비가 보호한다.
③ 경기침체에 따른 실업자의 증가로 범죄가 증가함으로써 민간경비 시장이 성장ㆍ발전 한다.
④ 경찰의 치안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시민과 민간경비의 능동적 참여를 다각적으로 유도한다.
47. 일본의 민간경비 발전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60년대에 한국과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다.
② 1964년 동경올림픽 선수촌 경비를 계기로 민간경비의 역할이 널리 인식되었다.
③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EXPO) 개최시 민간경비가 투입되었다.
④ 경비업법 제정 당시 신고제로 운영하였으나, 그 후 허가제로 바뀌었다.
48. 한국 민간경비의 역사적 발전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77년 설립된 한국경비실업은 경비업 허가 제1호를 취득하였다.
② 1989년 용역경비업법은 용역경비업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계경비시설을 설치ㆍ폐지ㆍ변경한 경우 허가관청에 신고하여야 한다고 규정하였다.
③ 2001년 경비업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경비업의 종류에 신변보호업무가 추가되었다.
④ 2013년 경비업법 개정으로 집단민원현장에 배치된 경비원의 지도ㆍ감독 규정이 강화 되었다.
49. 미국의 민간경비산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현재 계약경비업체가 자체경비업체보다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② 경찰과 민간경비는 업무수행에 있어 상명하복의 관계가 명확하다.
③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민간경비산업이 급속히 발전하였다.
④ 2001년 9.11테러 이후 국토안보부를 설치하였으며, 이는 공항경비 등 민간경비산업이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50. 순수공공재 이론에서 “치안서비스라는 재화는 이용 또는 접근에 대해서 제한할 수 없다”는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① 비경합성
② 비배제성
③ 비거부성
④ 비순수성
51. 일본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민간인 지위 이상의 특권이나 권한을 부여받는다.
② 현행범 체포는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는다.
③ 정당방위는 위법성이 조각된다.
④ 긴급피난은 정당성이 인정되지 않는다.
52. 우리나라 민간경비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976년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인 민간경비가 실시되었다.
② 1997년 제1회 경비지도사 자격시험이 실시되었다.
③ 1999년 용역경비업법이 경비업법으로 변경되었다.
④ 2021년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을 통해 경찰관 신분을 가진 민간경비원이 합법화되었다.
53. 경비원이 다른 부서의 관리자들로부터 명령을 받게 된다면 업무수행에 차질이 생길 것이다. 이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민간경비 조직편성의 원리는?
① 계층제의 원리
② 통솔범위의 원리
③ 명령통일의 원리
④ 조정ㆍ통합의 원리
54. 우리나라 치안여건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과거에 비해 인터넷, 클럽, SNS 등 마약류의 구입경로가 다양하지만 마약범죄는 감소 추세에 있다.
②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의 확대로 사이버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③ 노령인구 증가로 노인범죄가 사회문제시 되고 있다.
④ 금융, 보험, 신용카드 등과 관련된 지능화ㆍ전문화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55. 범죄예방 및 안전사고방지를 위하여 관내 주택, 고층빌딩, 금융기관 등에 대한 방범시설 및 안전설비의 설치상황, 자위방범역량 등을 점검하여 문제점을 보완하는 경찰활동에 해당하는 것은?
① 문안순찰
② 방범진단
③ 방범홍보
④ 경찰방문
56. 기계경비의 장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장기적으로 운영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② 화재예방과 같은 다른 예방시스템과 통합운용이 가능하다.
③ 24시간 동일한 조건으로 지속적 감시가 가능하다.
④ 기계경비를 잘 아는 범죄자에게 역이용당할 우려가 있다.
57. 자체경비와 계약경비의 장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계약경비는 자체경비보다 다양한 경비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경비인력을 쉽게 제공할 수 있다.
② 자체경비는 신분보장의 불안정성과 저임금으로 계약경비보다 이직률이 높다.
③ 계약경비는 경비인력의 추가 및 감축에 있어 자체경비보다 탄력적 운용이 가능하다.
④ 자체경비는 계약경비보다 고용주에게 높은 충성심을 갖는 경향이 있다.
58. 경비업법령상 경비원의 교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비원이 되려는 사람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교육기관에서 미리 일반경비원 신임 교육을 받을 수 있다.
② 일반경비원 신임교육은 44시간이다.
③ 특수경비원 신임교육은 88시간이다.
④ 일반경비원의 교육실시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
59.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상 경찰의 사무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지역 내 교통활동에 관한 사무는 자치경찰이 담당한다.
② 공공안녕에 대한 위험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정보의 수집ㆍ작성 및 배포에 관한 사무는 국가경찰이 담당한다.
③ 학교폭력 등 소년범죄에 해당하는 수사사무는 자치경찰이 담당한다.
④ 가정폭력, 아동학대 범죄에 해당하는 수사사무는 국가경찰이 담당한다.
60.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브랜팅햄(P. Brantingham)과 파우스트(F. Faust)의 범죄예방 구조모델 개념과 관련된다.
② 뉴만(O. Newman)의 방어공간 개념과 관련된다.
③ 지역의 환경을 개선하여 범죄자의 범법심리를 억제하고, 주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는 기법을 말한다.
④ 범죄의 원인을 환경적 요인보다는 개인적 요인에서 찾는다.
61. 경비지도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일반경비지도사와 특수경비지도사로 구분한다.
② 경비현장에 배치된 경비원 순회점검 직무를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성실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③ 경비지도사 제도는 경비업법 제7차 개정 때 도입되었다.
④ 경비원을 지도ㆍ감독ㆍ교육하는 현장책임자라 할 수 있다.
62. 경비위해요소 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경비위해요소 분석은 경비대상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범죄, 화재, 재난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이다.
② 지진, 폭풍, 홍수 등 자연적 위해요소는 대규모의 인적ㆍ물적 피해를 발생시킨다.
③ 비용효과분석은 투입 대비 산출규모를 비교하여 적정한 경비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절대적 기준이 있다.
④ 경비위해요소 분석자료는 경비계획에 있어서 경비조직 등의 규모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63. 경비진단을 위한 물리적 사전조사의 착안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위험을 야기할 수 있는 인물의 유무
② 경비대상시설의 형태와 용도
③ 시설 내의 예측할 수 있는 침입경로
④ 주변 구조물 등의 상황
64. 민간경비의 윤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민간경비의 윤리가 확립되지 않으면 고객 및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없다.
② 민간경비의 윤리문제는 민간경비 자체에 한정된다.
③ 경찰과 시민의 민간경비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④ 자격증 제도의 도입 등을 통한 전문화는 민간경비의 윤리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65. 경비계획수립의 기본원칙으로 옳은 것은?
① 건물출입구 수는 안전규칙 범위 내에서 최대한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② 경비관리실은 건물 내부에서 통행이 가급적 적은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정상적인 출입구 외에 건물 외부와 연결되는 천장, 환풍기, 하수도관 등에 대한 안전확보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④ 효과적인 경비를 위해서는 물건을 선적하거나 수령하는 지역은 동일지역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6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경비수준은?
| 일정한 형식이 없는 외부와 내부의 이상행동을 감지하여 저지 · 방어하기 위한 첨단시스템 장치를 구비하고, 고도로 훈련받은 무장 경비원이 배치되어 경비하는 시스템이다. |
① 최저수준 경비(Level-1)
② 하위수준 경비(Level-2)
③ 중간수준 경비(Level-3)
④ 상위수준 경비(Level-4)
67. 외곽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시설물의 경계지역은 시설물 자체의 특성과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② 담장을 설치할 경우 가시지대를 넓히기 위해 주변 장애물을 제거해야 한다.
③ 경계구역 내 옥상이 없는 건물이나 외곽지역도 경비활동의 대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④ 경비조명은 시설물에 대한 감시활동보다는 미적인 효과가 더 중요하다.
68. 국가중요시설 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가중요시설 중요도에 따라 가급, 나급, 다급, 라급, 마급으로 분류된다.
② 국가중요시설 내 보호지역은 제한지역, 제한구역, 통제구역으로 구분된다.
③ 국가중요시설은 국방부장관이 관계 행정기관의 장 및 국가정보원장과 협의하여 지정한다.
④ 국가중요시설 경비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교육훈련 강화를 통한 경비 전문화가 필요하다.
69. 순찰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수순찰은 단독순찰에 비해 인원의 경제적 배치가 가능하고 여러 지역을 분산하여 순찰할 수 있다.
② 난선순찰은 경비원의 판단에 따라 경로를 선택하는 순찰이다.
③ 자동차순찰은 넓은 지역을 신속하게 순찰할 수 있다.
④ 실내순찰은 순찰경로가 경비 대상시설의 내부로 한정되는 순찰이다.
70. 비상사태 발생시 민간경비의 대응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응급환자에 대한 조치 ㄴ.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자산의 보호 ㄷ. 비상계획서 작성 및 책임자 지정 ㄹ. 발생지역내의 질서유지 및 출입통제 |
① ㄱ, ㄴ, ㄷ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71. 국가보안시설 및 기업의 산업스파이 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핵심정보에 접근하는 자는 비밀보장각서 등을 작성하고, 비밀인가자의 범위를 최소한으로 제한해야 한다.
② 최근 기업규모별 산업기술 유출 건수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있어 체계적인 보안대책이 요구된다.
③ 산업스파이는 외부인이 시설의 전산망에 침입하여 핵심정보를 절취해 가는 경우가 많아 방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④ 첨단 전자장비의 발전으로 산업스파이에 의한 산업기밀이 유출될 수 있는 위험요소들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72. 다음의 사례에 해당하는 신종금융범죄는?
| ‘9월의 카드 거래내역’이라는 제목의 이메일에서 안내하는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자 가짜 은행사이트에 접속되었고, 보안카드번호 전부를 입력한 결과 범행계좌로 자신의 돈이 무단 이체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
① 피싱(Phishing)
② 파밍(Pharming)
③ 스미싱(Smishing)
④ 메모리해킹(Memory Hacking)
73. 물리적 통제시스템인 CCTV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영상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함으로써 범죄발생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② 영상정보처리기기의 무분별한 설치는 인권침해 가능성이 높아 개인정보보호법에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③ 국가중요시설에 영상정보처리기기를 설치ㆍ운영하려는 자는 관련 안내판을 설치하여 정보주체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④ 디지털(DVR) 방식에서 아날로그(VCR) 방식으로 전환되어 그 효율성이 증대되었다.
74. 정보보호의 목표 중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한번 생성된 정보는 원칙적으로 수정되어서는 안되며, 원래의 그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만약 수정이 필요할 경우, 허가받은 사람에 의해서 허용된 절차에 따라 수정되어야 한다. |
① 비밀성
② 가용성
③ 영리성
④ 무결성
75. 컴퓨터보안 관련 위해요소와 그 내용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트로이목마(Trojan horse): 실제로는 파일삭제 등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좋은 것처럼 가장하는 프로그램
② 서비스거부 공격(Denial of service attack): 악의적으로 특정시스템의 서버에 수많은 접속을 시도하여 다른 이용자가 정상적으로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수법
③ 자료의 부정변개(Data diddling): 금융기관의 컴퓨터시스템에서 이자계산이나 배당금 분배시 단수 이하의 적은 금액을 특정계좌로 모으는 수법
④ 바이러스(Virus): 컴퓨터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부분을 복제ㆍ변형시킴으로써 시스템에 장애를 주는 프로그램
76. 컴퓨터시스템의 보안 및 컴퓨터범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컴퓨터범죄는 다른 범죄에 비해 증거인멸이 용이하며, 고의 입증이 어렵다.
② 컴퓨터보안을 위한 체계적 암호관리는 숫자ㆍ특수문자 등을 사용하고, 최소암호수명을 설정하여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③ 타인의 컴퓨터에 있는 전자기록 등을 불법으로 조작하면, 형법상의 전자기록위작ㆍ변작죄 등이 적용될 수 있다.
④ 시설 내 중앙컴퓨터실은 화재발생시 그 피해가 심각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sprinkler) 등 화재대응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77. 민간경비원의 동기부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허즈버그(F.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중 동기요인은 조직 정책, 감독, 급여, 근무환경 등과 관련된다.
② 인간관계론적 관점에서 등장한 동기부여이론은 조직내 구조적인 면보다는 인간적 요인을 중요시한다.
③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중 안전욕구는 2단계 욕구에 해당한다.
④ 맥그리거(D. McGregor)의 XㆍY이론 중 Y이론은 인간 잠재력의 능동적 발휘와 관련된다.
78.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경비개념은?
| 물리적 보안요소(CCTV, 출입통제장치 등), 기술적 보안요소(불법출입자 정보인식시스템 등), 관리적 보안요소(조직·인사관리 등)를 상호연계하여 시큐리티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접근방법이다. |
① 혼성(Hybrid) 시큐리티
② 종합(Total) 시큐리티
③ 융합(Convergence) 시큐리티
④ 도시(Town) 시큐리티
79. 민간경비의 공공관계(PR) 개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공공관계 개선은 관련정책 및 프로그램을 통한 민간경비의 이미지 향상을 의미한다.
② 민간경비는 특정고객에게 경비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일반시민과의 관계 개선도 중요하다.
③ 민간경비의 언론관계는 기밀유지 등을 위해 무반응적(inactive) 대응이 원칙이다.
④ 민간경비는 장애인ㆍ알콜중독자 등 특별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80. 경찰과 민간경비의 관계개선을 위해서는 향후 경찰조직 내의 전담부서의 확대가 요구된다. 현재 경찰청에서 경비업법상 경비업을 관리하고 있는 부서는?
① 생활안전국 범죄예방정책과
② 생활안전국 생활질서과
③ 경비국 경비과
④ 경비국 위기관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