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연소는 빛과 열을 수반하는 환원반응이다.
② 메탄(CH4)이 완전연소하면 물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③ 철과 산소가 결합하여 녹이 생기는 반응을 연소라 한다.
④ 연소 중 산소가 부족하면 완전연소가 된다.
2. 가연물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① 산소와 친화력이 클 것
② 활성화 에너지가 클 것
③ 열전도도가 작을 것
④ 발열량과 비표면적이 클 것
3. 기체의 주된 연소형태가 아닌 것은?
① 폭발연소
② 확산연소
③ 표면연소
④ 예혼합연소
4.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의 특징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염화수소는 철에 대한 부식성이 없다.
② 공기 중 농도 50 %이상의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무해하다.
③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유독성 기체이다.
④ 포스겐은 염소계 화합물로 인체에는 큰 피해가 없다.
5. 산화열의 축적에 의해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있는 것은?
① 대두유
② 활성탄
③ 생석회
④ 에틸알코올
6. 열전달의 형태 중 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두 물체 사이의 복사열은 매개체 없이 전자파 형태로 전달된다.
② 화재 시 비화나 화염의 영향 없이 인접한 건물로 연소가 확대되는 것도 복사에 의한 열전달 형태다.
③ 뜨거운 커피잔 속에 스푼을 넣고 저을 때 스푼에 열이 전달되는 것도 복사에 의한 열전달 형태다.
④ 두 물체 사이의 복사열은 절대온도 차의 4제곱에 비례한다.
7. 고층건축물화재 시 건축물 내부의 온도가 바깥보다 높고 밀도가 낮을 때 건물 내의 공기가 부력을 받아 이동하는 현상은?
① 굴뚝효과(stack effect)
② 플래쉬오버(flash over)
③ 백드래프트(back draft)
④ 롤오버(roll over)
8. 다음 위험물의 화재 시 소화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나트륨은 물로 냉각소화 한다.
② 유황은 소규모화재 시 마른모래로 질식소화 한다.
③ 마그네슘은 이산화탄소로 질식소화 한다.
④ 알루미늄분말은 물이나 포로 냉각소화 한다.
9.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품명과 지정수량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칼륨 – 10 kg
② 황린 – 20 kg
③ 알칼리금속 – 50 kg
④ 알킬알루미늄 – 300 kg
10. 화재 시 가연물질 주변의 산소농도를 낮추어 소화하는 방법은?
① 냉각소화
② 질식소화
③ 부촉매소화
④ 제거소화
11.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ㄱ. 물은 증발점열이 커서 냉각효과가 크다. ㄴ. 물은 모든 화재에 적용되는 친환경 약제이다. ㄷ. 물은 비압축성 액체이며 펌프로 원하는 장소로 보낼 수 있다. ㄹ. 물은 변질우려가 적고 장기보관이 쉽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12. 다음 중 불연성가스가 아닌 것은?
① 헬륨
② 황화수소
③ 아르곤
④ 이산화탄소
13.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① IG-100
② FC-3-1-10
③ HCFC-124
④ FIC-1311
14. 소화기구의 소화약제 중 가스계 소화약제가 아닌 것은?
① 이산화탄소소화약제
② 할로겐화물소화약제
③ 청정소화약제
④ 산알칼리소화약제
15. 화재의 분류, 표시색상과 소화약제가 순서대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① 일반화재 – 황색 – 이산화탄소
② 유류화재 – 황색 – 포
③ 전기화재 – 적색 – 물
④ 금속화재 – 적색 – 물
16. 유류탱크 화재 시 유류저장탱크 바닥에 찌꺼기와 함께 있는 물이 끓어 수분의 급격한 부피팽창에 의해 기름이 넘치는 현상은?
① 보일오버(boil over)
② 슬롭오버(slop over)
③ 블레비(BLEVE)
④ 링파이어(ring fire)
17.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령상 소방시설등의 자체점검 중 작동기능점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작동기능점검에는 방수압력측정계, 열감지기시험기 등의 점검장비가 필요하다.
② 작동기능점검은 소방안전관리자가 점검할 수 있다.
③ 작동기능점검은 2년마다 1회 실시한다.
④ 작동기능점검은 소방시설등을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18.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내화구조의 내력벽 중 철근콘크리트조의 두께기준은?
① 3 cm 미만
② 5 cm이상
③ 7 cm미만
④ 10 cm 이상
19.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상 건축물에 설치하는 방화벽에 관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 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비 및 높이는 각각 ( ㄱ )미터 이하로 하고, 해당 출입문에는 규정에 따른 ( ㄴ )방화문을 설치할 것 |
① ㄱ: 2.5, ㄴ: 갑종
② ㄱ: 2.5, ㄴ: 을종
③ ㄱ: 3.0, ㄴ: 갑종
④ ㄱ: 3.0, ㄴ: 을종
20. 건축물의 피난계획에 관한 일반적인 원칙으로 옳은 것은?
① 피난동선은 1방향으로만 해야 한다.
② 피난경로는 단순명료하게 한다.
③ 피난설비는 이동식을 원칙으로 한다.
④ 피난수단은 복잡한 구조의 첨단장비를 사용한다.
21. LNG 및 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LPG용 가스 탐지(검지)부는 천장 쪽에 설치한다.
② LNG가 LPG보다 액화하기 쉽다.
③ LPG의 주성분은 프로판(C3H8)이다.
④ LNG의 주성분은 에탄(C2H6)이다.
22. 다음 중 분진폭발의 위험성이 없는 것은?
① 밀가루
② 석탄가루
③ 산화칼슘(생석회) 분말
④ 알루미늄 분말
23.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내용으로 가연성가스 등의 누출을 자동으로 차단하며, 소화약제를 방사하여 소화하는 장치는?
① 캐비넷형 자동소화장치
② 분말식 자동소화장치
③ 고체에어로졸식 자동소화장치
④ 주방용 자동소화장치
24. 옥내소화전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가압송수장치
② 배관
③ 수원
④ 유수검지장치
25. 다음에서 설명하는 스프링클러소화설비는?
| – 1차 측은 가압수로 2차 측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 – 스프링클러헤드는 폐쇄형을 사용한다. – 화재감지회로는 교차회로 방식을 사용한다. – 동파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주로 설치한다. |
①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
② 습식스프링클러
③ 건식스프링클러
④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
26. 화재안전기준(NFSC)상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한다.
② 온도가 4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한다.
③ 직사광선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④ 용기 간의 간격은 점검에 지장이 없도록 1 cm의 간격을 유지한다.
27.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하는 설비는?
① 비상경보설비
② 비상방송설비
③ 자동화재속보설비
④ 누전경보기
28. 화재안전기준(NFSC)상 화재 감지기의 부착 높이가 20 m 이상인 장소에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는?
① 차동식분포형감지기
② 불꽃감지기
③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
④ 열연기복합형감지기
2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유도등
② 수신기
③ 음향장치
④ 중계기
30. 화재안전기준(NFSC)상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 A를 초과하는 경우에 설치하는 누전경보기는?
① 1급 누전경보기
② 2급 누전경보기
③ 3급 누전경보기
④ 4급 누전경보기
31. 화재안전기준(NFSC)상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에 관한 설치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 특정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 까지의 수평거리가 ( ㄱ )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리고 보행거리가 ( ㄴ )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
① ㄱ: 20, ㄴ: 40
② ㄱ: 20, ㄴ: 50
③ ㄱ: 25, ㄴ: 40
④ ㄱ: 25, ㄴ: 50
32. 화재안전기준(NFSC)상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복도ㆍ통로ㆍ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에 설치하며, 각 부분으로부터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② 공연장ㆍ집회장ㆍ관람장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 부분 등에 설치한다.
③ 천장높이가 3 m인 장소에 설치 할 경우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0 m 이상 1.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한다.
④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전용의 축전지설비에 의하여 점등되도록 설치한다.
33. 화재안전기준(NFSC)상 피난기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완강기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자동적으로 내려올 수 있는 기구 중 사용자가 교대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② 구조대는 화재 발생 시 사람이 건축물 내에서 외부로 긴급히 뛰어 내릴 때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게 지상에 도달할 수 있도록 포지에 공기 등을 주입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③ 피난사다리는 화재 시 긴급대피를 위해 사용하는 사다리를 말한다.
④ 승강식피난기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자동으로 하강하고 내려서면 스스로 상승하여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무동력 승강식피난기를 말한다.
34. 화재안전기준(NFSC)상 복도통로유도등은 보행거리 몇 미터(m) 마다 설치하여야 하는가?
① 20 m
② 30 m
③ 40 m
④ 50 m
35. 화재안전기준(NFSC)상 인명구조기구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구조대
② 방열복
③ 인공소생기
④ 공기호흡기
36. 화재안전기준(NFSC)상 연면적 3,500m2, 지하 1층 지상 7층인 특정소방대상물의 지상 1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 때 지구음향장치의 우선경보가 동시에 발하지 않는 층은?
① 지하 1층
② 지상 1층
③ 지상 2층
④ 지상 3층
37. 소방기본법에서 정하는 소방대가 아닌 것은?
① 소방공무원
② 자위소방대원
③ 의용소방대원
④ 의무소방원
38.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예방, 소방활동 또는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신호의 종류가 아닌 것은?
① 경계신호
② 발화신호
③ 해제신호
④ 복귀신호
39.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을 제조할 목적으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기 위하여 허가를 받은 장소는?
① 제조소
② 저장소
③ 주유취급소
④ 판매취급소
40. 다음 중 제2류 위험물인 것은?
① 황화린
② 질산
③ 등유
④ 아세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