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전기 발생의 방지대책이 아닌 것은?
① 습도를 낮게 한다.
② 접지를 한다.
③ 공기를 이온화시킨다.
④ 물체간에 마찰과 충격을 최소화한다.
2. 액체가연물이 연소할 때 액체 자체가 연소하는 것이 아니라 액체표면에서 발생된 증기가 연소하는 연소형태는?
① 표면연소
② 훈소연소
③ 증발연소
④ 자기연소
3. 전달된 열에너지를 스테판-볼츠만(Stefan-Boltzmann) 법칙에 의해 계산할 수 있는 열전달 현상은?
① 대류
② 전도
③ 복사
④ 비화
4. 제4류 위험물로서 수용성인 것은?
① 아세톤
② 휘발유
③ 톨루엔
④ 질산
5. 위험물의 유별과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제3류 위험물은 자연발화성 물질 및 금수성 물질이다.
② 제4류 위험물은 인화성 액체이다.
③ 제5류 위험물은 자기반응성 물질이다.
④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이다.
6. 메탄(CH4)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온에서 공기보다 가볍다.
② LPG의 주성분이다.
③ 완전연소 시 이산화탄소와 물이 생성된다.
④ 물에 잘 녹지 않는다.
7. 연소반응 및 연소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공기 중에 장시간 방치된 철(Fe)의 표면에 녹이 생기는 것은 연소반응이다.
② 나트륨과 마그네슘분말은 점화원을 제공하여도 공기중에서 연소하지 않는다.
③ 모든 가연물은 대기 중에 산소가 없으면 절대 연소하지 않는다.
④ 연소반응은 빛과 열을 동반한 산화반응이다.
8. 인화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점화원을 제거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가연물을 연소시킬 수 있는 최저온도
② 점화원 없이 가열된 열만으로 가연물을 발화시킬 수 있는 최저온도
③ 점화원을 가연물에 가했을 때 가연물을 용융시킬 수 있는 최저온도
④ 점화원을 가연물에 가했을 때 가연물이 발화될 수 있는 최저온도
9. 일반적으로 고층건축물 화재 시에 발생한 연기를 이동시키는 주요인자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부력
② 표면장력
③ 굴뚝효과
④ 바람
10. 화재 시 연쇄반응을 억제시켜 소화하는 방법은?
① 제거소화법
② 질식소화법
③ 부촉매소화법
④ 냉각소화법
11. 요리 중 음식물에 불이 붙었을 때 용기의 뚜껑을 덮어 소화하는 주된 원리는?
① 냉각소화
② 질식소화
③ 제거소화
④ 화학소화
12. 일반화재, 유류화재 및 전기화재에 모두 적응성이 있는 분말소화약제는?
① 제1종 분말소화약제
② 제2종 분말소화약제
③ 제3종 분말소화약제
④ 제4종 분말소화약제
13. 소화약제로 사용되는 물의 성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비열은 기체상태의 이산화탄소 비열에 비해 작다.
② 기화 시 체적팽창에 의한 질식소화효과도 있다.
③ 1기압에서 증발잠열은 1,650kcal/kg 이다.
④ 봉상으로 주수할 시 A급, B급 및 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
14. 통전중인 전기설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면 그 화재의 종류는?
① A급화재
② B급화재
③ C급화재
④ D급화재
15. 제4류 위험물 중 수용성 물질의 화재 시 적응성이 가장 큰 포소화약제는?
① 단백포
② 수성막포
③ 화학포
④ 알콜형포
16. 방화관리자가 수행하는 업무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소방계획서의 작성
② 자위소방대의 조직
③ 소방시설의 설계 및 공사감리 영업
④ 화기취급의 감독
17.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 )재료란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재료를 말한다. |
① 가연
② 난연
③ 준불연
④ 불연
18. 건축물의 피난시설 계획 시 일반적인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피난로에는 정전 시에도 피난방향을 명백히 알 수 있는 표지를 설치한다.
② 피난대책은 Fool Proof와 Fail Safe의 원칙을 중시해야 한다.
③ 피난경로는 간단명료하고 2방향 이상 확보한다.
④ 피난시설은 원칙적으로 이동식을 설치한다.
19. 갑종방화문의 비차열 성능 기준은 몇 분 이상인가?
① 15분
② 30분
③ 45분
④ 60분
20. 옥내소화전 함 및 방수구 등의 설치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옥내소화전설비의 호스 구경은 20mm 이하이어야 한다.
② 옥내소화전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③ 옥내소화전 방수구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④ 당해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는 25m 이하로 하여야 한다.
21. 옥내소화전설비에서 구조물 또는 지형지물 등에 설치하여 자연낙차의 압력으로 급수하는 수조는?
① 지하수조
② 고가수조
③ 압력수조
④ 가압수조
22. 가압송수장치에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로 인한 열로 폐쇄형스프링클러헤드가 개방되면서 소화수를 방수하는 설비는?
① 습식스프링클러설비
②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
③ 건식스프링클러설비
④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23. 스프링클러설비의 방수압력에 대한 화재안전기준이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가압송수장치의 정격토출압력은 하나의 헤드선단에 ( ㄱ )MPa 이상 ( ㄴ ) MPa 이하의 방수압력이 될 수 있게 하는 크기일 것 |
① ㄱ : 0.1 , ㄴ : 1.2
② ㄱ : 1.5 , ㄴ : 2.2
③ ㄱ : 2.5 , ㄴ : 3.2
④ ㄱ : 3.5 , ㄴ : 4.2
24. 펌프의 성능시험을 목적으로 펌프토출측의 모든 개폐밸브를 닫은 상태(토출량 없음)에서 펌프를 운전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① 기동운전
② 체절운전
③ 정격부하운전
④ 서징운전
25. 재사용이 가능한 수동식소화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축압식분말소화기에는 지시압력계가 부착되어 있다.
② 축압식분말소화기의 압축가스는 수소이다.
③ 이산화탄소소화기의 주된 소화효과는 부촉매효과이다.
④ 능력단위는 화재의 종류에 따른 적응성을 의미한다.
26. 비상방송설비, 누전경보기 및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어느 설비에 해당하는가?
① 소화설비
② 경보설비
③ 피난설비
④ 소화용수설비
27. 지하 1층, 지상 3층이고 연면적이 2,000m2인 건축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지상 1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경보가 울려야 하는 층은?
① 지상 1층에서만 경보
② 지상 1층과 지상 2층에서만 경보
③ 지하 1층, 지상 1층과 지상 2층에서만 경보
④ 전층에서 경보
28.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감지기 사이의 회로 배선방법은?
① 송배전식배선
② 가위배선
③ 분기배선
④ 교차배선
29.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① 감지기
② 수신기
③ 변류기
④ 발신기
30. 부착높이가 바닥으로부터 20m 이상인 곳에 설치할 수 있는 감지기는?
① 불꽃감지기
② 보상식 스포트형감지기
③ 열연기 복합형감지기
④ 차동식 분포형감지기
31. 객석유도등의 설치장소가 아닌 것은?
① 객석의 바닥
② 객석의 벽
③ 객석의 천장
④ 객석의 통로
32. 포지 등을 사용하여 자루형태로 만든 것으로서 화재 시 사용자가 그 내부에 들어가서 내려옴으로써 대피할 수 있는 피난기구는?
① 피난사다리
② 구조대
③ 피난교
④ 공기안전매트
33. 의료시설의 건축물에 피난기구 설치 시 그 층의 바닥면적 몇 m2 마다 1개 이상의 피난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설치제외 및 감소의 규정은 적용하지 않음)
① 500
② 1,000
③ 1,500
④ 2,000
34. 피난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유도등
② 비상벨
③ 구조대
④ 방열복
35.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고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는?
① 차동식 스포트형감지기
② 정온식 스포트형감지기
③ 단독경보형감지기
④ 광전식 분리형감지기
36. 소방기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① 구조대의 편성과 운영
② 소방박물관의 설립과 운영
③ 소방의 날 제정과 운영
④ 위험물탱크안전성능검사
37. 소방자동차의 우선통행 등 및 소방대의 긴급통행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방자동차가 구조, 구급훈련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사이렌을 사용할 수 있다.
② 소방자동차가 화재진압을 위하여 출동할 때에는 모든 차와 사람은 방해하면 안된다.
③ 소방자동차의 우선통행에 관하여는 도로교통법이 정하는 기준을 따르지 않아도 된다.
④ 소방대는 화재현장에 신속한 출동을 위하여 긴급한 때에는 일반적인 통행에 쓰이지 아니하는 도로, 빈터로 통행할 수 있다.
38. 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람
② 산림
③ 건축물
④ 차량
39. 다음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위험물의 정의이다.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위험물”이라 함은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들의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서 ( )이(가) 정하는 물품을 말한다. |
① 화재안전기준
② 행정안전부령
③ 시ㆍ도 조례
④ 대통령령
40.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위험물안전관리자를 해임한 경우, 해임일로부터 몇 일 이내에 위험물안전관리자를 재선임하여야 하는가?
① 30일
② 40일
③ 50일
④ 6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