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움은 왜 색과 도형에 비유되는가? – 『필레보스』 12e~13a에 대한 하나의 해석 – Why Is Pleasure Compared To Colors And Shapes? – An Interpretation Of…
즐거움은 왜 색과 도형에 비유되는가? – 『필레보스』 12e~13a에 대한 하나의 해석 – Why Is Pleasure Compared To Colors And Shapes? – An Interpretation Of…
심대윤의 天命之性으로서 欲 연구 – 『福利全書』를 중심으로 – Sim Dae-yun’s (沈大允) Conception of Desire (欲) as Cheonmyeong jiseong (天命之性) – Focusing on Bokri Jeonseo…
5⋅18항쟁의 윤리사상 The Ethical Thought of the May 18 Uprising 본 논문은 5⋅18항쟁의 윤리성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5⋅18 항쟁에 대한 법적⋅역사적⋅사회과학적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지만,…
The S. Kierkegaardian Moral Foundation for E. Phelps’ 『Mass Flourishing』 펠프스의 다수의 번영을 위한 키에르케고어의 도덕적 근거 I explore the idea of mass…
익괘(益卦)의 천시(天時)에서 본 생민(生民)의 역사(役事) The Role of Cosmic Management to Save the People as Seen from the Heavenly Time of the Yi Gua…
정신의 정신적 본질 Spiritual Essence of the Spirit 「정신적 동물의 왕국과 기만 또는 사태 자체」 부분은 헤겔 「정신현상학」 중에서도 가장 해독되기 어려운 부분으로 알려져…
칸트와 쇼펜하우어의 인과론에서 무의식 The Unconscious in the Theory of Causality of Kant and Schopenhauer 이 논문은 칸트의 인과론을 무의식의 차원과 연결하여 고찰…
남명 조식과 면우 곽종석의 안과 밖-마음[心] 이해와 사회적 실천의 관계 The Inner Side and Outer Side of Nammyeong Josik and Myeonwoo Kwak Jong-seok: The…
호네트의 인정의 사회 이론 – 인정과 사회적 자유 개념의 연관을 바라보는 하나의 관점 Honneth’s Social Theory of Recognition: A Perspective on the Connection between…
공존을 위한 선택-보편주의와 다원주의의 길항관계 The Choice for Coexistence: The Antagonism between Universalism and Pluralism 다원주의는 하나의 도전으로 다가온다. 왜냐하면 다원주의는 긍정적 가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