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周易』의 상(象) 사유로 본 시뮬라크르 시대 The Age of Simulacra Through the Lens of Yi Jing Images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시뮬라크르(Simulacra) 현상이…
『周易』의 상(象) 사유로 본 시뮬라크르 시대 The Age of Simulacra Through the Lens of Yi Jing Images 본 연구는 현대 사회의 시뮬라크르(Simulacra) 현상이…
인류 존속에 대한 논의는 한국인의 존속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The Continuation Of Korean People In Light Of The Continuation Of The Humanity? 인류의…
몽골 문화코드 파랑(블루)의 재서사: 디아스포라 화가 신후 간톨가의 시선 Re-narration of Mongolian Cultural Code Blue: The Perspective of Diaspora Painter Shinekhuu Gantulga 세계화…
사르트르의 타자론으로 본 몰리에르의 『앙피트리옹』 Molière’s Amphitryon Seen Through Sartre’s Theory of the Other 호머(Homer)의 『일리아드(Iliad)』에서 처음 등장한 ‘암피트리온’ 신화를 기반으로 하는 몰리에르의…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나타난 중국계 미국인 가족 관계의 글로컬라이제이션화 연구 A Study on the Glocalization of Chinese American Family Relationships in Everthing…
메이야수의 사변에서 상관주의와 거대한 외계(Grand Dehors)와의 양립가능성에 대하여 Compatibility of Correlationalism and Grand Dehors in Meillassoux’s speculation 사변적 실재론이 연구자들의 복잡성에도 상관주의를 거부한다는…
개념 공학에 대한 화자 의미 접근의 한계 Limitations of the Speaker Meaning Approach to Conceptual Engineering 최근 분석철학의에서 새로운 철학적 방법론으로 많이 논의되는…
약한 결합 원리를 만족하는 준선형 논리와 크립키식 의미론 Weak associative semilinear logics and Kripke-style semantics 이 논문에서는 약한 결합 원리를 만족하는 준선형 논리를…
집단적 감정과 연대의식: 집단적 감정의 도덕적 정당화 문제 Collective Emotion and Solidarity: The Moral Justification of Collective Emotion 이 논문은 집단적 감정, 특히…
한스 요나스의 『책임의 원칙』에서 ‘Sorge’ 연구 ‘Sorge’ in Hans Jonas’ The Imperative of Responsibility 이 글은 한스 요나스(Hans Jonas)의 책임 윤리에서 ‘염려’(Sorge)가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