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位虛理實”의 관점에서 분석한 蘆沙 奇正鎭의 리기론
An Analysis of Nosa(蘆沙) Gi Jeong-jin(奇正鎭)’s Li–Qi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on Is Empty, but Principle Is Full(位虛理實)”

 

본문은 노사 기정진의 리기론을 적확하게 분석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평가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노사 성리학 사상의 기본 원칙은 “자리는 비었지만 이치는 가득하다”라는 그의 우주 이해에 기반하는데, 이런 이해는 리기 관계에 관한 독자적인 견해에서 성립한다. 리와 기가 개념적으로 구분되지만 존재적으로 분리되지 않는다는 주자학의 기본 원칙에 따르면서도, 특히 리의 주재를 강하게 주장한다. 노사는 리의 “無爲”를 단순한 비작위성이나 무기력함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고 보고, 리가 기를 통솔하는 주재자임을 여러 비유를 통해 설명했다. 그는 리를 주인, 기를 종복으로 비유하고, 리를 만물 생산의 종자와 같은 “생산 원리[生理]”로 간주했다. 이런 점 때문에 많은 학자가 그를 “유리론” 혹은 “리일원론”자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노사는 결코 기라는 별도의 실체를 부정하지 않았고, 리의 주재 역시 “필연의 오묘함”일 뿐 “실현의 능력은 없다”라고 인정했다. 그는 리가 기와 천지 만물을 “낳는다”고 표현했지만, 이는 문자 그대로의 생성이 아니라 존재론적 ‘최종 근거’로서의 역할을 의미한다. 결국 노사의 리기론은 참신한 개념과 표현을 통해 리의 철학적 위상을 재확인하고자 했을 뿐, 그 내용은 사실 전통 주자학 체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그의 형이상학은 “유리론”이나 “리일원론”으로 보아서는 안 되며, 정통 주자학적 리기론의 특정 양상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This paper aims to accurately analyze Nosa Gi Jeong-jin’s theory of li and qi(理氣論) and evaluate its philosophical meaning and significance. The core principle of Nosa’s Neo-Confucian thought is based on his cosmological view that “though the position is empty, principle is full”, which stems from his uniqu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principle) and qi(material force). While he accepts the Zhu Xi orthodoxy that li and qi are conceptually distinguishable but ontologically inseparable, Nosa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the dominance of li. Concerned that the doctrine of the non-action(無爲) of li might be misunderstood as passivity or powerlessness, he asserts li’s governing role through various analogies. He compares li to a master and qi to a servant, and further likens li to a kind of “productive principle(生理)”, akin to a seed that gives rise to all things. Because of these interpretations, some scholars have classified him as an advocate of “li-only theory(唯理論)” or “li-monism(理一元論)”. However, Nosa never denies the independent reality of qi, and he also acknowledges that the rule of li is a matter of metaphysical necessity, not one of actualized efficacy. Though he claims that li gives birth to qi and the myriad things, this does not imply that li physically produces them. Rather, he means that li serves as their ultimate ontological basis. In conclusion, although Nosa appears to present a novel interpretation of li and qi through new concepts and expressions, the content of his theory does not deviate from the orthodox Zhu Xi tradition. His metaphysics, therefore, cannot be properly characterized as a “li-only” or “li-monist” theory, but should be most appropriate to interpret it as a particular development within the orthodox Zhu Xi framework of li–qi metaphysics.

중앙대학교 중철학연구소
중앙대학교 안재호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