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식화된 삼상과 재해석된 불가분리적 연결
Formalized Trairūpya and Reinterpreted Avinābhāva

 

본 논문은 불교논리학의 삼상을 형식화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하는 딜레마에 대해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대안적인 삼상 모델을 구상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삼상을 형식화할 때, 주제(pakṣa, logical subject)를 도메인에 포함 시킬 것인지 배제 시킬 것인지에 따라 두 종류의 해석이 있을 수 있다. 먼저, 포괄적 삼상에 의하면 주제가 도메인 내에 포함되는 것이 허용되지만 다수의 판별 조합이 불공부정인에 대한 판별력을 상실하며, 구조적 순환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주제를 도메인에서 배제하는 배제적 삼상에 의하면 포괄적 삼상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은 대부분 해결되지만, 도메인 전이라는 새로운 문제와 조우하게 된다. 여기서 필자는 불가분리적 연결(avinābhāva, inseparable connection)이라는 개념에 기반해서 순환성의 문제와 도메인 전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삼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가 구상하고 있는 새로운 삼상에서는 재해석된 불가분리적 연결의 도입으로 인해 증인(hetu, probans)과 소증(sādhya, probandum) 사이에서 약한-필연적 연결을 보장함으로써 앞의 두 삼상 모델에서 발생했던 문제들이 일정 부분 해결된다. 신모델 구성 후, 필자는 상위결정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신모델의 실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상위결정적 논증 상황에서 어떤 논증이 부당한지를 모든 경우는 아니더라도 일부 경우에는 판별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logically the dilemma that arises when attempting to formalize the trairūpya of Buddhist logic and to construct an alternative model of trairūpya. When formalizing trairūpya, there are two types of interpreta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pakṣa (logical subject) is included in or excluded from the domain. First, according to inclusive trairūpya, while the logical subject is allowed to be included in the domain, multiple discriminative combinations lose their capacity to identify asādhāraṇa-hetvābhāsa (uncommon fallacious reason). Also, there seems to be a problem of structural circularity. Conversely, according to exclusive trairūpya, which excludes the logical subject from the domain, while most of the problems that arose in inclusive trairūpya are resolved, it encounters a new problem of domain transfer. Here, I suggest a new trairūpya model that can overcome both the problem of structural circularity and domain transfer, based on the concept of avinābhāva (inseparable connection). In the new trairūpya I envision, the introduction of a reinterpreted inseparable connection ensures a weak-necessary connection between hetu (probans) and sādhya (probandum), thereby providing a partial resolution to the problems that emerged in the previous two trairūpya models. After constructing the new model, I analyze a case of viruddhāvyabhicārin (antinomic inference). Through this, I test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new model and demonstrate that it can identify, though not in all cases but in some cases, which argument is invalid in situations of viruddhāvyabhicār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경북대학교 노원택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