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이십론』의 논변 전략에 대하여
On the Argumentative Strategy of Viṃśikā

이길산
경남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09, pp. 41-65 (25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켈너‧테이버의 새로운 제안에 따르면, 『유식이십론』 전체는 무지로부터의 논증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바수반두는 인식 독립적인 존재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제대로 보증해주는 바른 인식수단이 부재하다는 점을 차례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텍스트를 기획하였다. 이 이해에 따르면 『유식이십론』의 제1송부터 제7송까지는 추리 파트이고, 제8송부터 제15송까지는 전승 파트이며, 제16송 이후는 지각 파트에 해당한다. 그러나 그들의 독해는 상당 부분 자의적으로 보인다. 특히 텍스트 전체의 논리를 표명하는 것으로 치켜세웠던 ‘존재 판정은 바른 인식수단에 달렸으며 특히 지각이 중요하다’라는 원리에 대한 그들 자신의 해석이 문제적인 것으로 보인다. 『석궤론』에서 바수반두는 정지와 후득지만을 바른 인식수단으로 인정했다. 지각‧추리‧성취자의 전승 등 통상적인 바른 인식수단은 오로지 일정한 해석을 부여해야만 그 부차적인 지위가 인정된다고 할 수 있다. 『유식이십론』의 논의를『석궤론』에 연속하는 것으로 볼 경우, 바른 인식수단에 대한 바수반두의 이항적 인식은 켈너‧테이버에 해석적 제안을 철저하게 거부할 이유를 준다. 나아가 바수반두의 이 독특한 발상을 받아들일 경우, 이제껏 잡다한 나머지 논변 모음 정도로 받아들여져 왔던 『유식이십론』 제16송 이후의 논의에 나름의 서사적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recent proposition put forth by Kellner and Taber, the logical framework underpinning Vasubandhu’s Viṃśikā can be characterized as an argument from ignorance. Structuring the text, the author, they argue, sequentially highlights the absences of the respective means of valid cognition that adequately substantiates our belief in the existence of cognition-independent entities. The first seven verses comprise the Reasoning Section, followed by verses 8-15 designated as the Scripture Section, with the remaining verses categorized as the Perception Section. Nevertheless, the new interpretation appears somewhat arbitrary, particularly in their explication of the principle(s) asserting that “the judgment of existence depends on the means of valid cognition, with perception being the most crucial among them.” Vasubandhu, in Vyākyāyukti, acknowledges only non- conceptual cognition and pure mundane insight as means of valid cognition. Consequently, Common means of valid cognition such as perception, inference, and verbal testimony can assume a secondary role only when a specific interpretative viewpoint is provided. It is this binary approach to means of valid cognition that does stand as a compelling rationale for unequivocally rejecting the proposal by Kellner and Taber. Furthermore, embracing Vasubandhu’s distinct conception of means of vaild cognition seems to lend a narrative coherence to the post-verse 16 section of Viṃśikā, traditionally regarded as a miscellaneous compilation of diverse debates.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