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치료적 관점에서 본 융심리학과 대행선
Jungian Psychology and Daehaengseon from a Psychotherapeutic Perspective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10, pp. 181-215 (35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본 논문은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융심리학과 대행선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행선에서 보이는 전면적이고 전폭적인 치유는 서양의 심리치료 가운데 융의 심리치료와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정신의 본래적 상태와 기능, 집단무의식의 의식화, 자아의 기능, 자아의 희생의 관점에서 융심리학과 대행선을 비교할 수 있다. 먼저 대행선에서 정신의 본래적 상태로 상정되는 한마음은 융심리학의 전체성과 비교할 수 있으며, 한마음을 이루어 가도록 작용하는 주인공(主人空)은 융심리학의 자기(Self)에 비유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한마음과 주인공의 심리적 구조와 기능을 볼 수 있다.
마음은 진화 과정에서 축적된 경험의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정보들이 마음을 통해서 현실적 존재에게 어떻게 작용하고 어떻게 의식화 과정을 밟는지를 대행선의 ‘억겁의 중생구제’와 융심리학의 ‘집단무의식의 의식화’를 대비시켜 볼 수 있다. 억겁의 중생구제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나’라는 자아 기능이면서도 자아의 특수성이 한마음으로의 회귀에 있어서 장애 요소로 기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자아의 이중적 기능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중도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대행선의 ‘주인공에게 놓아라’라는 방하착의 의미는 융심리학의 ‘자아의 희생’과 연관해서 볼 수 있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Jungian psychology and Daehaengseon from a psychotherapeutic perspective. The comprehensive and comprehensive psychotherapy seen in the Daehaengseon can be compared with Jung’s psychotherapy among Western psychotherapies. Jungian psychology and Daehaengseon can be compared in terms of the original state and function of the mind, consciouslization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function of the self, and sacrifice of the self. First, the One Mind, which is assumed to be the original state of the mind in the Daehaengseon, can be compared to the wholeness of Jung’s psychology, and the Juingong that acts to achieve One Mind can be compared to the Self of Jung’s psychology, and through this, You can se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and functions of One Mind and the Juingong.
The mind is composed of information from experiences accumulated during the evolution process. How that information acts on realistic beings through the mind and how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conscious can be seen by contrasting Daehaengseon’s ‘salvation of sentient beings for eons’ and Jung psychology’s ‘making the collective unconscious conscious.’ What is most necessary in saving all living beings for eons is the self function called ‘I’, but we can see that the specificity of the self functions as an obstacle to returning to One Mi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is dual function of the self can be seen from a middle way. And the meaning of Daehaengseon’s ‘letting go of it to the Juingong’ can be seen in relation to Jung psychology’s of ‘sacrifice of the self’.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