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thiramati’s Criticism on Saṅghabhadra’s Svabhāva-vedanā
안혜의 중현의 자성수 비판에 대한 고찰
KWON JUNG HYUN
권정현
동국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10, pp. 41-70 (30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ern Sthiramati’s criticism on Saṅghabhadra’s interpretation of vedanā. Sthiramati, in Pañcaskandhakavibhāṣa, criticizes Saṅghabhadra’s interpretation of vedanā; that is, the experiencing of a desirable or undesirable contact, or a contact that is different from both. Saṅghabhadra, in his 『順正理論』, specifies such vedanā as 自性受(svabhāva-vedanā). Sthiramati rejects his view by highlighting that neither “vedanā accompanying contact” nor “vedanā having contact as its cause” are suitable for paraphrasing the distinct nature of vedanā. The rationale behind the criticism is that all the mental factors share the quality of accompanying contact and contact is the cause of all mental factors. Saṅghabhadra does not seem to give the same rendering to ‘svabhāva’ in relation to vedanā that Sthiramati understands and criticizes. However, Saṅghabhadra’s interpretation of vedanā as svabhāva-vedanā has limitations for understanding vedanā comprehensively. Saṅghabhadra’s svabhāva-vedanā will be explored as providing the Abhidharmic classification of vedanā and analyzed and as looking at the causal and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contact and vedanā, the ambiguity concerning the contact with affective tones, and the usage of the term ‘svabhāva’. Thus, this study not only offer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of vedanā analysis in the Abhidharma, but also to look deeper into the mental event in the term vedanā, which is always concurrent with our mind.
본고는 안혜의 중현의 자성수 비판에 대한 고찰로 중현의 자성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안혜의 비판에 대한 근거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현은 『順正理論』에서 원하거나 원치 않은 접촉, 또는 둘 다와 다른 촉을 경험하는 것이 수의 본질적 성격이라 하며 이를 자성수(自性受)라고 한다. 안혜는 세친의 『대승오온론』(Pañcaskandhaka)의 주석서인 『오온론석』(Pañcaskandhakavibhāṣa)에서 이러한 중현의 해석을 비판한다. 안혜는 중현의 자성수가 ‘촉을 수반하는 수’인지 아니면 ‘촉을 원인으로 하는 수’인지 질문하며 문제를 제기한다. 안혜는 두 경우 모두 수의 고유한 성격을 드러내는 데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촉이 수의 본질적 성질이라는 중현의 견해를 부정한다. 이러한 비판의 근거는 모든 심소는 촉을 수반하는 특성을 공유하며, 촉은 모든 심소의 공통된 원인이기 때문이다. 안혜가 비판한 자성수의 ‘자성’에 중현은 안혜와 동일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안혜의 비판에서 알 수 있듯이 중현의 자성수는 여전히 종합적 수 이해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중현과 안혜의 자성수에 대한 분석을 위해 수의 아비달마의 분류를 소개하고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살펴본다. 첫째, 촉-수 사이의 인과적, 시간적 관계, 둘째, 촉이 가지는 정서적 특성의 모호성, 그리고 ‘자성’이라는 용어의 사용이 그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아비달마에서 학파간의 서로 다른 수 분석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우리의 마음과 항상 함께 일어나는 수 심소의 정신적 경험을 더 깊이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