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학적 신체론을 통한 전통의 재정의 : 윤이상의 <예악>, 이날치<범 내려온다>를 중심으로
Redéfinition de la tradition à travers la théorie phénoménologique du corps : Focus sur Réak d’Isang Yun et Le tigre descend de Lee Nal Chi

김민정
홍익대학교

美學(미학)
2024, vol.90, no.3, pp. 1-42 (42 pages)
한국미학회

 

초록

본 연구는 전통을 현재화한 윤이상의 <예약>,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의 창작 원리를 메를로-퐁티의 신체적 반성 개념을 통해 해명함으로써 창조적 전통의 의의를 확인한다. 이 작품들 속에서 전통은 전통이라 거론되는 것들이 주는 틀에 박힌 외양을 벗고 동시대 문화 예술의 장에 자연스럽게 접목되어 가장 현대적인 것으로 거듭나고 있다. 이들의 창작 원리를 해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신체’ 및 ‘초반성’ 개념을 하나의 역동적 개념으로 주조한 ‘신체적 반성’ 개념을 제시한다. 신체적 반성은 자연스러운 것으로 주어진 사태에 거리를 두는 반성, 일상 속에 당연한 것으로 주어진 것으로부터 한 걸음 물러나는 반성이지만, 관습적 삶에 대한 거리 두기가 신체의 무의식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반성을 말한다. 신체적 반성 개념을 통해 살펴보는 윤이상 및 이날치 밴드의 작업은, 단순히 과거의 것을 보존하고 이어 나가는 전통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날카로운 비판 정신인 전통의 의의를 확인하도록 해준다. 이로써 사실상 차별과 배제를 일삼았던 전통에 대한 고루한 접근법을 넘어서 화해와 공존, 나아가 창조의 논리로 확장되는 전통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확립하고자 한다.

Cette étude confirme l’importance de la tradition créative en expliquant les principes créatifs de Réak de Isang Yun et de Le tigre descend de Lee Nal Chi, qui ont donné vie à la tradition, à travers le concept de réflexion physique de Merleau-Ponty. Dans ces œuvres, la tradition renaît comme la chose la plus moderne en se débarrassant de l’apparence stéréotypée de ceux qu’on appelle traditions et en s’incorporant naturellement dans le champ de la culture et de l’art contemporains. Afin d’élucider leurs principes créatifs, cette étude présente le concept de « réflexion corporelle », qui fusionne les concepts de « corps » et de « surréflexion » de Merleau-Ponty en un seul concept dynamique. La réflexion corporelle est une réflexion qui prend du recul par rapport à ce qui est donné comme donné dans la vie quotidienne, mais elle renvoie à une réflexion qui s’éloigne de la vie conventionnelle au niveau de l’inconscient. niveau du corps. Les travaux d’Isang Yun et Lee Nal Chi, examinés à travers le concept de réflexion corporelle, permettent de confirmer l’importance d’une tradition qui n’est pas simplement une tradition de préservation et de continuation du passé, mais plutôt l’esprit critique le plus aiguisé.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