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데거 기술론과 예술론의 동시대적 재해석: 육휘를 중심으로
A Contemporary Reinterpretation on Heidegger’s Theory of Technology and Art: Centered on Yuk Hui

구주현
서울대학교

美學(미학)
2024, vol.90, no.2, pp. 41-77 (37 pages)
한국미학회

 

초록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기술론과 예술론을 육휘가 비판적으로 계승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하이데거는 현대 기술이 존재자들을 억압하는 현상을 경계하고, 존재 사유를 통해 그 위기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논문은 그의 현대 기술 비판을 사이버네틱스에 대한 비판으로 구체화하고, 존재 망각의 측면에서 설정된 형이상학, 현대 기술, 사이버네틱스 사이의 연결성에 주목한다. 육휘는 이 연결을 수용하되, 사이버네틱스를 하이데거의 비판으로부터 재평가함으로써 미래의 기술 철학을 구성하고자 한다. 하이데거와 육휘는 형이상학 및 사이버네틱스 이후에 필요한 사유로 각각 존재 사유와 코스모테크닉스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기술과 예술을 재해석한다. 이들의 기술론과 예술론에 대한 연구는 기술과 예술이 진리를 드러내고 실현한다는 점에서 상호보완적 관계로 이해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traces the critical succession of Heidegger’s theory of technology and art by Yuk Hui. Heidegger was wary of the oppression of beings by modern technology and sought to overcome this crisis through the thought of Being. This paper specifies his critique of modern technology as a critique of cybernetics, and draws attention to the connection between metaphysics, modern technology, and cybernetics established in terms of the oblivion of Being. Yuk Hui embraces this connection, but seeks to construct the future philosophy of technology by reevaluating cybernetics from Heidegger’s critique. Heidegger and Yuk Hui propose thought of Being and cosmotechnics, respectively, as the necessary thinking after metaphysics and cybernetics, and they reinterpret technology and art through them. The work on their theory of technology and art suggests that technology and art should be understood as complementary in that they reveal and realize truth.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