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 짓는 새: 들뢰즈와 과타리의 예술론과 동물행동학
A Gardener Bird: Art and Ethology in the thought of Deleuze and Guattari

이찬웅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원

美學(미학)
2024, vol.90, no.1, pp. 117-148 (32 pages)
한국미학회

 

초록

들뢰즈에 따르면, 하나의 신체는 그것이 지닌 속도와 정동(affect)을 통해 이해된다. 동물행동학이 정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인 바, 들뢰즈는 “윤리학은 동물행동학이다”라고 규정한다. 마찬가지로 미학 또한 동물행동학이라고 할 수 있다. 들뢰즈와 과타리에 따르면, 예술은 이미 자연 안에서 시작된다. 즉, 스케노포이에테스처럼 동물이 자연의 표현의 질료를 사용해 영토를 만드는 행위에서 예술은 시작된다. 영토화는 거리를 통해 차이가 발생하고, 다양한 힘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종류의 힘이 형성될 수 있는 구체적인 조건이다. 새의 영토화와 인간의 건축술에서 볼 수 있듯이, 이질적 요소의 배치는 공속성과 보강을 내재적이고 경험주의적인 원리로 삼는다. 들뢰즈와 과타리의 동물행동학에서 정동과 주위 세계는 윤리학으로, 리토르넬로와 영토화는 미학으로 분기된다. 윤리학은 정동의 증식과 강화를 목표로 하고, 예술은 표현적 질료의 사용, 영토와 스타일의 형성, 그리고 바깥의 힘에 접속하는 것과 관련된다.

According to Deleuze, a body is understood through its velocity and affect. Considering ethology as a comprehensive study of affect, Deleuze affirms that “ethics is an ethology”. Similarly, aesthetics can also be considered as an ethology. For Deleuze and Guattari, art originates already within Nature. Art begins with animals which create territories using the materials of expression of nature, as seen in Scenopoïetes. Territorialization is a concrete condition in which differences are made through distances, and various forces are combined to form a new kind of power. As we can see in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birds and the architecture of the human beings, the agencement of heterogenious elements has the consistency and consolidation as its immanent and empiricist principle. In Deleuze and Guattari’s ethology, affect and the Umwelt branch into ethics, while ritornello and territorialization into aesthetics. Ethics aims for the multiplication and intensification of affects, while art involves the use of expressive material, the formation of territories and styles, and connecting with forces of the outside.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