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 본질주의 반대
Against Imagery Essentialism
황현동
서울대학교 미학과
美學(미학)
2024, vol.90, no.2, pp. 149-180 (32 pages)
한국미학회
초록
“언어적 전회” 이후의 많은 철학자들은 심상이 상상에서 본질적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에 반대하여 카인드(Amy Kind)는 심상이 상상에서 본질적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카인드에 의하면, 첫째, 상상이 가지는 어떤 특징들은 심상이 상상에서 본질적 역할을 한다고 할 때에만, 다시 말해 ‘심상 본질주의’ 하에서만 설명이 가능하다. 그리고 둘째, 심상 본질주의에 대한 반례들이 문제로 삼는 것은 “개별화 논제”이나, 심상 본질주의는 개별화 논제를 함축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들로부터 안전하다.
이 글의 목표는 카인드의 심상 본질주의를 반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카인드가 제시하는바 상상의 특징들 및 그것들에 대한 심상 본질주의의 설명을 살펴본다. 이어서는 심상 본질주의가 개별화 논체를 함축하지 않는다는 카인드의 주장을 검토한 다음, 심상 본질주의가 개별화 논제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포착 논제’가 별로 설득력이 없다는 점을 보인다. 최종적으로는 카인드가 거부하는, “상상을 사고로 환원하는” 입장이 상상의 특징들을 오히려 더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After the “linguistic turn”, many philosophers hold that mental imagery does not play an essential role in imagining. In contrast to this prevailing view, Amy Kind argues that mental imagery is an essential element of imagining. According to her, first, certain key features of imagining can only be properly explained by ‘imagery essentialism’, the view that mental imagery is essential to imagining. Second, imagery essentialism can mitigate alleged counterexamples, as their actual target is the “individuation claim”, which imagery essentialism does not have to endorse.
My aim in this paper is to argue against imagery essentialism. To begin, I outline the key features Kind presents and the explanations offered by imagery essentialism. Next, I examine Kind’s argument that imagery essentialism does not entail the individuation claim, and demonstrate that the ‘capturing claim’, proposed by imagery essentialism as an alternative to the individuation claim, is not plausible. Finally, I argue that the view which “reduce[s]imagining to thinking”, a view Kind denies, can explain the key features of imagining more appropriately than imagery essenti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