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론사의 삼종중도(三種中道)와 혜균의 비판
The Threefold Middle Way (三種中道) Presented by the Chengshi Masters and its Critique by Hyegyun

조윤경
안동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09, pp. 97-124 (28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본 논문은 백제 혜균(慧均)의 『대승사론현의기』(大乘四論玄義記) 가운데 「팔불의」(八不義)를 중심으로 남조 성실론사의 삼종중도(三種中道) 학설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에 대한 혜균의 비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삼종중도는 세제중도와 진제중도를 각각 제시한 다음에 이제합명중도를 통해 두 가지 서로 다른 층위의 중도를 통합한 학설이다. 그간 삼종중도는 학계에서 주로 삼론종의 교리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왔지만, 삼론사에 의해 처음 고안된 것이 아니라 성실론사의 중도 해석에 연원을 둔 이론이다.
혜균은 「팔불의」에서 삼종중도의 전반적 특징과 함께 지장 『의소』의 구체적인 인용문을 제시하므로 당시 삼종중도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한다. 또한 혜균은 성실론사의 삼종중도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각 중도 해석에 내재한 문제점을 지적한다. 우선 혜균은 성실론사의 중도가 각각의 대립항을 단순 병치한 점에 대해 비판한다. 다음으로, 그는 성실론사의 진제 개념에는 이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름에 의존하는 모순을 내포한다고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그는 성실론사가 중도의 의미를 단순히 양극단을 버린 것으로 왜곡한다고 비판한다.
본 논문은 남조 불교의 주류를 형성했던 성실론사의 삼종중도 학설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나아가 삼종중도에 대한 혜균의 비판을 검토함으로써 성실학파와 삼론학파의 중도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Chengshi masters’ original Threefold Middle Way doctrine in the Southern Dynasties, grounded in the chapter titled “Meaning of Eightfold Negation” (八不義) in Hegyun’s work Daeseung saron hyeonui gi (大乘四論玄義記). It further examines Hyegyun’s critique of the doctrine. The Threefold Middle Way amalgamates two disparate interpretations of the middle way—at the level of the conventional (世諦中道) and ultimate truth (眞諦中道)—through the middle way as a combination of both previous levels (二諦合名中道). It has predominantly been studied in the context of the Sanlun School’s doctrine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doctrine finds its roots in the Chengshi masters’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way, rather than being an original concept of the Sanlun scholars.
In the “Meaning of Eightfold Negation,” Hyegyun lays the groundwork for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Threefold Middle Way of that era. He does this by elucidat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is theory and referencing specific passages from Zhizang’s Yishu (義疏). Hyegyun then delves into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engshi masters’ Threefold Middle Way, identifying and discussing the intrinsic issues in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t each level. First, he critiques the approach for its simplistic juxtaposition of opposing elements. Second, he highlights the inherent contradictions in the middle way at the level of ultimate truth, especially its reliance on names, while concurrently being devoid of them. Finally, he criticizes the distorted interpretation of the middle way as merely abandoning two extremes.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Threefold Middle Way doctrine of the Chengshi masters, offering insights into how the understanding of the middle way differs between the Chengshi and Sanlun Schools, enriched by an analysis of Hyegyun’s critical perspective on the Threefold Middle Way.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