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르트르의 타자론으로 본 몰리에르의 『앙피트리옹』
Molière’s Amphitryon Seen Through Sartre’s Theory of the Other
호머(Homer)의 『일리아드(Iliad)』에서 처음 등장한 ‘암피트리온’ 신화를 기반으로 하는 몰리에르의 『앙피트리옹』은 주피터(Jupiter)라는 신이 인간계에 내려와 앙피트리옹의 모습으로 변모하여 그의 아내인 알크멘(Alcmène)을 취하고자 하는 내용을 담은 희극이다. 이 글은 작품의 인물들, 즉 주피터, 앙피트리옹, 알크멘과 머큐리, 소지의 관계를 사르트르의 타자론을 적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작품에서는 간통 모티프와 도플갱어 모티프를 발견할 수 있다. 간통 모티프는 주피터가 알크멘을 취하고자 하면서 그녀의 남편 역할을 앙피트리옹에게 넘기는 동시에 자신은 연인의 역할, 지위만을 얻으려는 데에서 발생한다. 그리고 도플갱어 모티프는 전지전능한 신인 주피터와 머큐리가 각각 앙피트리옹, 앙피트리옹의 하인인 소지의 모습으로 변모한 채로 인간계에 내려와 각 모습의 주인들과 만나며 발생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간통 모티프보다 도플갱어 모티프이다. 이 도플갱어 모티프로 인해 발생한 인물들 간의 갈등 상황에서 사르트르가 이야기한 ‘내출혈’의 상황이 발생한다. 이와 더불어 인물들이 맺는 관계들은 사르트르가 언급한 ‘타자와의 구체적인 관계’의 모습이 나타난다. 이렇게 타자론적 관점의 작품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얻고자 하는 바는 문학이 철학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고 있음을 예시하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Molière’s Amphitryon, a comedy based on the myth of Amphitryon that first appeared in Homer’s Iliad. In the play, Jupiter, a god, descends to the human world and transforms himself into the figure of Amphitryon in order to seduce his wife, Alcmène. Focusing on the characters—Jupiter, Amphitryon, Alcmène, Mercury, and Sosie—this paper applies Jean-Paul Sartre’s theory of the Other to examine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them. The play presents two central motifs: the motif of adultery and the motif of the doppelgänger. While the adultery motifemerges from Jupiter’s attempt to claim Alcmène by relinquishing the role of husband to Amphitryon while positioning himself solely as a lover, the doppelgänger motifarises when Jupiter and Mercury, both omnipotent gods, assume the physical forms of Amphitryon and his servant Sosie, respectively, and confront their human counterparts. The doppelgänger motif is of particular significance, as it generates conflicts that can be analyzed through Sartre’s notion of “internal hemorrhage.” Furthermore, the characters’ intersubjective relations can be interpreted in light of Sartre’s concept of “concrete relations with the Other.” By employing a philosophical lens in literary analys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value of Amphitryon and to explore new pathways for interpretation, ultimately suggesting that literary texts can function as a horizon where philosophical theories are vividly embodied.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 학부생 정상진(주저자), 철학과 교수 박치완(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