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수반두의 쁘라마나 이해 – 『논궤』와 『아비달마구사론』의 차이를 중심으로 –
Vasubandhu on Pramāṇa –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Vādavidhi and Abhidharmakośabhāṣya –

이길산
경남대학교

한국불교학
2024, vol., no.111, pp. 73-98 (26 pages)
한국불교학회

 

초록

프라우발너에 따르면, 인의 3상 규정이라든가 3지작법 창안 등 오랫동안 디그나가에게 귀속됐던 논리학적 성취가 사실은 『논궤』 등 바수반두의 논리학적 저작들에 의해 선취되었다. 그러나 카츠라 쇼류가 밝혔듯, 정작 바수반두는 『아비달마구사론』에서 3지작법이든 5지작법이든 논증식 자체를 사용하지 않았다. 한편 디그나가 또한 『논궤』가 바수반두에게 귀속된다는 점을 의심스러워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논궤』와 『아비달마구사론』의 개념적 차이는 주목할 가치가 있다. 특히 추리 개념이 극적으로 다르다. 『논궤』에서 추리는 ‘[추리를 통해 알고자 하는 것과] 분리불가능한 대상을 그 [분리불가능성]을 아는 자가 보는 것’으로 정의된다. 반면에 『아비달마구사론』에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추리는 최선의 설명(best explanation) 내지 귀추(abduction)에 가깝다. 종합적으로 볼 때, 두 문헌에 나타난 개념적 차이는 다시 다음 3가지로 요약된다. ⑴ 『논궤』에서와 달리 『아비달마구사론』의 구도에서는 지각의 역할이 크게 위축된다. ⑵ 『논궤』에서 보장되었던 추리의 타당성이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⑶ 『아비달마구사론』에 있어 추리와 성취자의 전승은 순환관계에 놓이는 반면에 『논궤』에서는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이러한 차이는 한 인간의 지적 성장이라든가 학파소속성의 변화 따위의 서사로는 잘 해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논궤』의 저자를 『아비달마구사론』의 저자와 별개의 인물로 보는 편이 적절할 것이다.

Frauwallner suggests that achievements like the introduction of the doctrine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a valid logical reason (trairūpya) and the reduction of the five-part inferential syllogism to a three-part one, traditionally attributed to Dignāga, were actually anticipated by Vasubandhu. However, as noted by Shoryu Katsura, Vasubandhu does not employ either the three-part syllogism or the five-part one in his Abhidharmakośabhāṣya. Moreover, Dignāga himself was skeptical about attributing the Vādavidhi to Vasubandhu and did not readily accept it. In this context, it’s worth looking at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Vādavidhi and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particularly in their treatment of inference. In the Vādavidhi, inference is defined as “seeing the inseparable object by someone who knows its inseparability [from the object to be inferred].” On the other hand, the inference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is closer to the best explanation or abduction. In general, the conceptual disparities between the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⑴ Unlike in the Vādavidhi, the role of perception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is significantly diminished; ⑵ The validity of inference, which is guaranteed in the Vādavidhi is not assured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⑶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rence and scripture (āptāgama) is cyclical, whereas this cannot be verified in the Vādavidhi. These differences cannot be adequately explained by the intellectual growth of a single individual or shifts in scholastic affiliation. Therefore, it is more plausible to consider the author of the Vādavidhi as a different figure from the Kośakāra, not to mention the Bhāṣyakāra.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