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의 패러다임 변천으로 본 장애 예술의 지위: 무용을 중심으로
Disability art in view of paradigm shifts in Aesthetics: with focus on dance
전예완
서울대학교
美學(미학)
2024, vol.90, no.1, pp. 181-231 (51 pages)
한국미학회
초록
예술에서 장애 이슈는 예술과 정치의 연결선상에서, 사회학적・법제적 차원에서, 그리고 무엇보다도 포용적 예술 교육(inclusive art education)의 관점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이는 물론 매우 중요하고 시급한 관점들이지만, 좀더 근본적인 철학적 미학의 관점에서 이른바 ‘장애 예술(disability art)’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즉 예술의 본질 및 지위와 정당성을 철학적으로 논하는 서양 전통 미학의 사유 속에, 그 미학사적 맥락 속에 장애 예술을 자리매김하는 작업이 필히 요구된다. 본 논문은 장애 예술의 첨병격인 무용을 중심으로 이러한 작업을 시도하고자 한다. 우선 고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미학적 사유의 패러다임 변천에 따라 무용의 물음들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본다. 다시 말해 미학사적 관점에서 무용사를 재구성한다. 나아가 20세기 말부터 대두된 장애 무용이 그러한 ‘미학적 무용사’ 내에 어떻게 자리매김될 수 있는지를 논한다. 무용의 예를 통해 미학사 흐름의 향방 속에서 장애 및 장애 예술이라는 주제가 필연적으로 배태됨을 밝힘으로써, 철학적 미학 내에 장애 예술의 입지를 확보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The issue of disability in art has been discussed mainly in terms of the connection between art and politics, in sociological and legal terms, and above all in terms of inclusive art education. While these are certainly important and urgent perspectives, there is a need to discuss so-called ‘disability art’ from a more fundamental perspective of philosophical aesthetics: to situate disability art within the context of the aesthetic history, which philosophically discusses the nature, status, and legitimacy of art. This paper attempts to do so by focusing on dance as an ‘avant-garde’ of disability arts. First, we examine how the questions of dance have changed according to paradigm shifts in aesthetic thought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In other words, we reconstruct the history of dance from the perspective of aesthetic history. Furthermore, we discuss how disability dance, which has emerged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can be positioned within such an ‘aesthetic history of dance’. By using the example of dance to show that the subject of disability and disability art is inevitably embedded in the direction of aesthetic history, this paper aims to secure the position of disability art within philosophical aesthe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