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관심성의 두 가지 문제점과 그 해결책
Two Problems in the Notion of Disinterestedness and its Solution
오종환
서울대학교 미학과
美學(미학)
2024, vol.90, no.1, pp. 45-81 (37 pages)
한국미학회
초록
근대 미학에서 확립된 무관심성(無關心性, disinterestedness)이라는 관념은 현대까지 이어지는, 이후의 미학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여 왔다. 그리고 그것의 영향력이 큰 만큼이나, 지금까지도 많은 이론에서 그것의 옳음은 전제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이론가들은 이 관념이 잘못된 것이고, 따라서 현대의 이론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먼저 근대 철학에서의 감각과 지각의 구분이 근대 미학의 창시자인 바움가르텐의 이론에 어떤 영향을 끼쳤고, 이에 대비되는 주장을 펼친 18세기 영국 취미론이 무관심성을 채택하면서 어떻게 인지적 요소를 배제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볼 것이다. 필자는 미적 경험에서 인지적 요소의 배제는 우리의 미적 경험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기에, 이러한 결과가 잘못된 것임을 밝힐 것이다. 두번째로 필자는 샤프츠버리가 주장한 무관심적 관조와 욕망의 양립불가능성이 20세기 영미미학에서 무관심적 태도와 관심적 태도의 양립불가능성으로 계승되나, 이러한 구분 또한 절대적일 수 없음을 밝힐 것이다. 전통적인 미학에서는 일상적 경험과 미적 경험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미적 경험이라는 독특한 경험의 영역이 성립할 수 있는 근거로서 무관심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필자의 주장처럼 무관심적 태도와 관심적 태도가 엄격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 구분은 정도의 문제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관점이 옳다면, 두 가지 잘못을 수정한 이후의 무관심성이라는 관념이 현대의 미학에서 어떤 함의를 가질 수 있나를 살펴볼 것이다.
The notion of disinterestedness established in modern aesthetics has played a key role in the field of aesthetics until now. As its influence has been so powerful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its correctness has been presupposed in many theories. But some scholars contest that this notion is not correct, and that its influence on aesthetic theories is negative.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distinction between sensation and perception in modern philosophy, and explain how it played a role in Baumgarten’s theory, the founder of modern aesthetics. I also explain how the 18th British philosophy of taste adopted the notion of disinterestedness, eliminating the cognative element and differing from Baumgarten. I argue that the elimination of cognative element is wrong, because we cannot explain properly our aesthetic experience without it. Secondly, I argue that Shaftesbury’s incompatibility between disinterested contemplation and desire, which has been adopted as incompatibility between disinterested attitude and interested attitude in contemporary theories of analytic aesthetics, is not absolute. Traditional theories have strictly separated aesthetic experiences from ordinary ones on the basis of disinterestedness. I argue the two are not separated so strictly, but the distinction is a matter of degree. Finally, I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my modified notion of disinterestedness without the two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