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종 간 지식과 체화된 공감
Interspecies Knowledge and Embodied Empathy

현남숙
전북대학교

김영진
동국대학교

철학연구
2024, vol., no.147, pp. 265-294 (30 pages)
10.23908/JSPS.2024.12.147.265
철학연구회

 

초록

최근에 이른바 신유물론과 포스트휴머니즘의 배경에서 인간과 비인간타자 간의 소통에 관한 문제의 한 갈래로 ‘다종 간 지식’의 가능성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다종 간 지식’의 개념을 명료화하면서, 종과 종 사이의 이해 내지 소통은 공감을 통해 부분적으로 그러나 실질적으로 가능하다는 관점을 고찰한다. 문제는 다종 간 지식에 토대적으로 연관하는 공감의 개념과 이론이보다 더 확고하게 밝혀지고 확립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인간과 동물 종 사이의 앎의 방식으로서, 뱅시안 데스프레(Vinciane Despret)가 제안하는‘체화된 공감’ 개념에 주목한다. 그는, 인간과 동물 사이에 비록 종들의 차이에 기인하는 비대칭성이 존재한다고 하여도 그들 사이의 소통과 이해는 체화에 기반한상호 응답과 조율로 구성된 부분적 친화성을 통해 가능하다고 역설한다. 본 논문은이 입장의 의의와 난점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를 논의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비인간 타자에 대한 지식 이론의 정립을 향한 한 실마리를 제시한다.

Recently, within the context of so-called new materialism and posthumanism, the issue of the possibility of “interspecies knowledge” has emerged as a facet of the broader question concerning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non-human others. In this paper, we seek to clarify the concept of “interspecies knowledge” and explore the perspective that understanding or communication between species is partially, yet substantively, achievable through what is referred to as “empathy.” The challenge lies in refining and establishing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empathy that are fundamentally related to interspecies knowledge. In this context, we focus on Vinciane Despret’s concept of “embodied empathy” as a mode of knowing between humans and animal species. Despret contends that, despite the asymmetry arising from species differences,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between humans and animals can occur through partial affinities formed by mutual responsiveness and coordination grounded in embodiment.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associated with that perspective. Through this discussion, we aim to offer a potential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a theory of knowledge concerning non-human others.

 

 

About Author

Jhey Network Architecture (JNA) 최종관리자.

Leave A Reply